유형 : 유적 총 1,79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유적
관풍헌 / 觀風軒 [예술·체육/건축]
고건축 유적지. 관풍헌(觀風軒)은 강원도 영월부의 동헌으로, 조선시대 단종(端宗)이 거처하였고, 생을 마감했던 장소이다. 1791년(정조 15) 정조가 영월부에 세 개의 제단(祭壇)을 만든 후 일체의 제사를 거행케 하였고, 관풍헌을 중건하였다.
관해정 / 觀海亭 [예술·체육/건축]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있는 조선후기 정구의 제자 장문재가 건립한 누정.정자. 문화재자료. 서원골은 무학산(舞鶴山) 계곡에서 바다를 바라볼 수 있는 숲이 우거진 풍치 좋은 곳이다. 조선시대 선조·광해군 때 정구(鄭逑)가 초당을 지어 시서(詩書)를 제자들에게 강론한
광남서원 / 廣南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성동리에 있는 서원. 1791년(정조 1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황보 인(皇甫仁)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831년(순조 31)에 ‘광남’이라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광덕사부도 / 廣德寺浮屠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에 있는 사리를 봉안한 5기의 석조 불탑.부도. 시도유형문화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5호. 부도는 모두 5기(基)가 있는데 4기는 홍예(虹霓)로 된 석교를 넘기 전에 있고, 1기는 4기(基)의 부도에서 동북 약 40m의 산봉우리 정상부에
광덕사삼층석탑 / 廣德寺三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 광덕사에 있는 고려시대 3층 석조 불탑.시도유형문화재. 높이 2.8m.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20호. 현재 대웅전 앞에 건립되어 있는데 원위치로 생각된다. 넓고 높직한 장대석 3매를 결구하여 지대석을 이루고 그 위에 기단부와 탑신부를 형성하였으
광릉 / 光陵 [역사/조선시대사]
왕릉. 광릉(光陵)은 조선시대 세조(世祖)의 능으로, 정희왕후(貞熹王后)를 부장(附葬)하였으며, 양주(楊州)의 동쪽 41리 되는 지점인 주엽산(注葉山) 직동(直洞)의 남쪽에 있다. 서울에서 60리 쯤 떨어진 거리이다.
광명철산동지석묘 / 光明鐵山洞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이 고인돌은 광명시청의 남쪽 100m 지점에 위치해 있었다. 이것을 광명고등학교로 이전하기 위해 1985년 1월 5∼20일에 걸쳐 한양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발굴조사 전의 상태는 동서 받침돌[支石]
광산김씨긍구당고택 / 光山金氏肯構堂古宅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에 있는 조선시대 광산김씨 담안공파 관련 주택.시도유형문화재. 고택은 정침(正寢), 사당, 방앗간, 외양간, 화장실 2채로 이루어져 있다. 정침을 중심으로 동쪽에는 사당과 사랑채 화장실이 있고, 서쪽 앞면에는 외양간이 위치하였으며, 서쪽 뒷면에는
광산서원 / 光山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광산리에 있는 서원. 1795년(정조 19)에 어촌(漁村) 양훤(楊晅, 1597∼1650)을 향사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해 훼철된 뒤 1899년(광무 3)에 양훤의 8세손 양전환(楊典煥), 양
광양 마로산성 / 光陽 馬老山城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시기에 초축된 협축식 성곽.산성. 사적. 사적 제492호. 광양 마로산성은 백제에 의해 축성되어 통일신라시대까지 사용된 성곽으로 5차에 걸친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조사결과 성벽과 건물지 17동, 문지 3개소, 석축 집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