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총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허재시집 / 虛齋詩集 [종교·철학/유학]
권수붕의 시집. 2권 1책. <고 811.54-G995h> 1899년(광무 3) 저자의 6세손 권대환 등이 유고를 정리하여 활자본으로 간행하였다. 기우만(1846∼1916)이 지은 <허재시집서>를 시작으로, 권1에는 시 110수, 권2에는 시 108수, 권말에는 부록
허정집 / 虛靜集 [종교·철학/불교]
조선 후기 승려 법종의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732년(영조 8) 묘향산 보현사에서 개간하였다. 권두에 김정대의 시, 권말에는 저자의 발문과 간기가 있다. 보우 등의 청에 의하여 개간되었다. 상권에는「산중사」·「유거사」·「허정가」 등 시 수백 수와 임종게 등이
허주문집 / 虛舟文集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인 김여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2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저자는 선조∼효종 연간의 사람이다. 『허주문집』은 1892년(고종 29) 김여욱의 후손 김복연(金福淵)과 김창희(金昌羲) 등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연하(權璉夏)의 서문
허주와유고 / 虛舟窩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 김석일의 시문집. 6권 2책. 필사본. 편집경위와 필사연대는 밝혀져 있지 않다. ≪허주와유고≫ 권1∼3은 시 621수, 권4는 제문 23편, 애사 4편, 행장 3편, 권5는 소 4편, 전 1편, 기 4편, 제후 3편, 잡저 5편, 책 1편, 권6은 부
헌릉대왕 행장 / 獻陵大王 行狀 [문학/고전산문]
조선 태종(太宗)의 행장. 1422년(세종 4) 5월 10일 태종이 훙서(薨逝)하자, 동월 15일 형조판서 이발(李潑)과 좌군동지총제 이수(李隨)를 북경에 파견하여 부고하며 시호를 청했는데, 이때 이 행장을 가지고 갔다.
헌종황제 사제문 / 憲宗皇帝賜祭文 [정치·법제/외교]
사제문. 명나라 8대 황제인 헌종황제(憲宗皇帝)가 1469년(예종 1) 1월에 세조의 부음 소식을 듣고 내린 사제문으로 '혜장(惠莊)'이란 시호를 하사하고 관원을 보내어 유제(諭祭)하였다. 원문은《예종실록》1년(1469, 기축) 윤2월 16일(신미) 조에도 보인다.
현금조선문전 / 現今朝鮮文典 [언어/언어/문자]
이규영(李奎榮)의 중등학교용 소문전. 내용은 제1편 글씨[文字], 제2편 씨[字], 제3편 월[文]의 3부로 된 초급용 기초문법이다. 주시경(周時經)의 맥을 이은 김두봉(金枓奉)의 ≪조선말본≫의 영향을 받았다. 제1편은 한글과 한자를 다루었는데, /ㅐ/와 /ㅔ/를 여전
현대 / 現代 [언론·출판/언론·방송]
1920년 1월 31일에 동경 조선기독교청년회에서 창간하여, 국한문으로 내리 편집한 격월간 잡지. 1920년 6월 18일 통권 6호로 폐간하고 1923년부터 「젊은이」로 변경하여 발간했다.
현동집 / 玄同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이안중의 시·기·화제·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불분권 1책. 필사본. 시 305수, 사(詞) 1편, 서(書) 4편, 기(記) 7편, 서(序) 5편, 화제(畫題) 11편, 발(跋) 1편, 제문 2편, 명(銘) 1편, 부(賦)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
현령현감판관안 / 縣令縣監判官案 [정치·법제]
전국의 현령, 현감, 판관의 설치 지역을 수록한 관안. 절첩 형식이다. 본문은 먼저 현령이 설치된 지역을 기록하고 이어 중간 부분에 '현감'이라 표기한 뒤에 현감이 설치된 지역을 기록하였다. 모두 74개의 지역이 기록되었다. 지방의 현령, 현감 등의 인사를 위해 작성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