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위남입촉기 / 渭南入蜀記 [언론·출판]
저자 육유(1125-1210). 필사본. 불분권 1책. 표제는 "입촉기 전"이고, 권두제는 "위남입촉기"이다. 권두제 아래에는 "산음 육유"라고 적혀 있다. <입촉기>는 육유가 1170년 윤5월 18일부터 그해 10월 27일까지 158일간 고향 산음을 떠나 임지인 기주
위백규 / 魏伯珪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실학자(1727∼1798). 천거로 옥과현감·장원서별제·경기전령 등을 지냈다. 경세론은 물론 경학·지리·역사·의학 등에 밝아 실학자적인 면모를 갖추었다. 저서로 《정현신보》·《본초강목》·《고금》등이 있다. 죽천사에 배향되었다.
위성공신 / 衛聖功臣 [역사/조선시대사]
임진왜란 때 광해군 호종에 공을 세운 관원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1613년(광해군 5) 모두 80명을 공신으로 책봉하였는데 1등은 최흥원·정탁·윤두수·이항복·윤자신·심충겸 등 10명으로 갈충진성동덕찬모좌운위성공신이라 하였고, 2등 17명은 갈충진
위씨세대록 / 魏氏世代錄 [문학/한문학]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27권 27책. 국문 필사본. 이 작품은 주인공 위형이라는 승상이 5남 3녀를 낳아 성취시키는 과정과, 둘째 아들 세영이 대원수가 되어 출전하는 영웅담을 엮어 놓았다. 그러면서도 일부다처 속에서 부인들 사이에 갈등이 없이 외부 요인에 의해서
위씨절행록 / 衛氏節行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 필사본. 여성의 정절을 주제로 한 윤리소설이다. 이 작품에 있어서 여성의 절행은 여주인공인 위씨가 동서인 주씨의 모해를 입어 시가에서 쫓겨나와, 친정 부모들의 개가 권유를 거부하고, 산사로 들어가 머리를 깎고 중이 되어 정
위유가 / 慰諭歌 [문학/고전시가]
1867년경에 시누이가 올케를 비판하며 지은 규방가사. 4음보 1행의 가사체를 기준으로 45행(2음보의 2행이 있음)이고, 서사(7행)·본사(34행)·결사(4행) 3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윤학민(1857∼1939)이 필사한 52장본과 윤석주(1883∼1953)가
위유어사봉서 / 慰諭御使封書 [정치·법제]
1794년(정조 18). 정조가 백성들을 위유하기 위해 위유어사를 파견하면서 내린 봉서. 이 봉서는 초서로 작성되어 있다. 위유어사로 윤음을 반포하고, 백성들의 질고, 수령들의 군만 등을 염찰, 세금의 감면 등을 당부하고 있다. 위유어사로서 수행해야 할 구체적 임무 1
위항문학 / 委巷文學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 서울을 중심으로 중인 이하 계층이 주도한 한문학 활동. 18세기부터 중인 이하 상인·천인까지 포함하는 하급계층이 한문학 활동에 대거 참여하였다. 19세기에 이르러서는 이들의 한문학 활동이 시단의 큰 흐름을 형성하는 데에까지 이른다. 당시에 양반사대부가 아닌
위현전 / 魏賢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2권 2책. 낙질본. 국문필사본. 박순호(朴順浩)·사재동(史在東) 소장의 두 이본이 있다. 이 둘은 다 상권만 남아 있고 하권은 현재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 작품은 영웅소설로서 전기성(傳奇性)이 강한 점이 특색이다. 초현실적인 몽환(夢幻)
유건 / 柳健 [종교·철학/유학]
1708년(숙종 34)~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유장운, 조부는 유환, 부친은 유창진이다. 외조는 이천재, 처부는 이기조이다. 1733년(영조 9) 식년시 생원 3등 68위와 진사 2등 23위로 입격하였고, 1743년(영조 19) 정시 병과 18위로 문과 급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