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원접사 / 遠接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명나라와 청나라의 사신을 맞아들이던 관직 또는 그 관원. 조선은 2품관 중에서 문명과 덕망이 있는 이를 조정에서 선발하여 원접사로 삼고 의주까지 가서 중국 사신을 마중하여 잔치를 베풀고, 선위사를 도중 다섯 군데에 보내 설연, 위로하였다. 원접사를 파견할 때

  • 원행을묘정리의궤 / 園行乙卯整理儀軌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정서류(政書類) 정조(正祖) 명편, 금속활자본(정리자), 1797년(정조 21), 10권 8책. 이 책의 구성은 수권, 권1-5, 부편, 권1-4이다. 1795년(정조 9) 윤2월 정조가 자궁(慈宮)과 함께 현륭원에 행행 때의 경위와 절차, 비용 등을

  • 월간집 / 月澗集 [종교·철학/유학]

    이전의 문집. 목판본, 후지: 이증록(1712), 4권4책. 권1은 만사를 포함하여 88제 100여 수의 시와 2편의 소가 수록되어 있다. 권2에는 모두 82편의 서, 권3에는 잡저‧잠‧제문‧묘지‧행장 등이 실려 있다. 권4는 부록으로 묘갈명‧옥성서원봉안문‧상향축문‧제

  • 월강서원 / 月岡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장수군 계내면 월강리에 있는 서원. 1826년(순조 2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백장(白莊)·송보산(宋寶山)·김남택(金南澤)·최경회(崔慶會)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1868년(고종 5)

  • 월계서원 / 月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고성리에 있는 서원. 1856년(철종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장말익(張末翼)과 장양수(張良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울진읍 무월리에 월계사(月溪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1862년에 ‘월계(月溪)’라고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 월봉집 / 月峯集 [종교·철학/유학]

    고인계의 문집. 목판본, 서: 홍상민, 5권 2책. 7세손 고몽찬이 1856년에 후손 고택룡과 저자의 문집을 간행하려고 구본의 시 2책과 문 2책을 다시 교정하여 각각 1책으로 줄이고 부록까지 포함하여 5권 2책으로 재편하였다. 권수에는 홍상민이 지은 서문과 목록이 있

  • 월암서원 / 月巖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월곡리에 있었던 서원. 1630년(인조 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주(金澍)·하위지(河緯地)·이맹전(李孟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37년(인조 15)하위지(河緯地)를 추가배향하였고, 1694년(숙종 20)에

  • 월영서원 / 月影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영동에 있었던 서원. 1713년(숙종 3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최치원(崔致遠)의 학문과 업적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9년(고종 6)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

  • 월정서원 / 月井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 금안리 광곡(光谷)에 있는 서원. 1659년(효종 1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순(朴淳)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9년에 ‘월정(月井)’이라 사액되었으며, 1789년에 김계휘(金繼輝)·심의겸(沈義謙)·정철(鄭

  • 위계서원 / 葦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고성군 마암면 석마리에 있는 서원. 1713년(숙종 3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인형(李仁亨)·이의형(李義亨)·이익인(李翊仁)·이현(李顯)·이응성(李應星)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