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금시당연행일기 / 今是堂燕行日記 [언론·출판]

    저자 임의백(1605-1667). 필사본. <금시당연행일기>는 건곤 2책의 필사본인데, 연민문고에는 건책만이 영본으로 소장되어 있다. 표제는 '금시당연행록 건'이다. 연행 사절은 정사, 부사, 서장관의 삼사로부터 역관, 서기 등 중인 실무 담당자, 마부, 하인, 상인

  • 금아시문선 / 琴兒詩文選 [문학/현대문학]

    피천득(皮千得)의 시문집. 시부 Ⅰ에는 「꿈 1·2」·「축복」·「편지」·「단풍」·「달무리지면」·「산야 山夜」 등 18편, Ⅱ에는 「어린 벗에게」·「어린 시절」·「아가의 슬픔」·「어떤 아가의 근심」·「가훈」 등 14편, Ⅲ에는 「사랑」 1편, Ⅳ에는 「생명」·「원족」·「

  • 금암기적비 / 黔巖紀蹟碑 [예술·체육/서예]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있는 조선후기 정조가 세운 기적비. 시도유형문화재.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제38호. 비 높이 1.41m. 1781년(정조 5) 왕이 숙종의 명릉(明陵)을 참배하고 서울로 돌아오던 도중에 할아버지 영조의 옛일을 회상하면서 친히 비문을 짓고 쓴 비이다.비

  • 금암집 / 琴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송몽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16년에 간행한 시문집. 1권 1책. 목판본. 1616년(광해군 8) 아들 국택(國澤)이 편집, 저자의 외숙인 이수광(李睟光)의 교열을 거쳐 간행하였고, 1890년(고종 27)에 후손 병준(炳焌)이 증보하여 중간하였다.

  • 금애유고 / 錦涯遺槁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하석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2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72년 증손인 상환(尙煥)·성렬(成烈)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용현(權龍鉉)의 서문과 권말에 권혁기(權赫琪)와 그의 종손인 동달(東達)·동

  • 금야온정리굴재덕유적 / 金野溫井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함경남도 영흥군 온정리(현재 북한의 함경남도 금야군 온정리) 고바위골 굴재덕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동굴 유적. 온정리에서 서북쪽으로 2㎞ 정도의 거리에 있는 해발 50m의 야산줄기의 동쪽 비탈면에 위치해 있다. 이 동굴은 인부들의 채석과정에서 동물화석이 발견되어 알려지게

  • 금야용산리토광묘 / 金野龍山里土壙墓 [역사/선사시대사]

    함경남도 영흥군 인흥면 용산리(현재 북한의 금야군 인흥면 용산리)에 있는 청동제유물 출토지. 출토유물은 제1지점에서 동검 1점, 동과 1점과 제2지점에서 동검 1점, 다뉴세문경 1점, +자형 검자루대 1점 등이다. 동과는 끝부분이 약간 떨어졌으나 거의 완형에 가까운 형

  • 금야유적 / 金野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함경남도 영흥군 영흥읍(현재 북한의 금야군 금야읍)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주거지 유적. 집터는 움 깊이 20∼30㎝의 낮은 장방형 반움집터로 바닥에는 기둥구멍이 남아 있지 않고, 화덕자리도 2호 집터에서 1개, 10호 집터에서 2개가 발견되었을 뿐이다. 집터의 크기는 5

  • 금야은행나무 / 金野銀杏─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금야군 동흥리에 있는 은행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271호. 은행나무는 동흥리에서 북쪽으로 3.5㎞ 떨어진 절골 안불사 뒤 언덕진 곳에서 자라고 있다. 나무는 몹시 크고 웅장하여 멀리서 보면 작은 산같이 보이고 나무 밑에 서면 깊은 숲속에 들

  • 금양 / 金壤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통천 지역의 옛 지명. 고려 성종 때 현령(縣令)이 파견되었고, 1285년(충렬왕 11) 통주(通州)로 개명하고 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 1413년(태종 13) 통천군으로 바꾸었다. 1762년(영조 38) 고을사람이 아버지를 죽인 사건이 일어나 한 때 현(縣)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