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원경하 / 元景夏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8∼1761). 1721년(경종 1)에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1736년(영조 12) 정시문과에 장원하였다. 이후 이조참판·판돈령부사 등을 지냈고,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영조 때 탕평에 공이 있었다. 저서로《창하집》이 있다.

  • 원교집선 / 圓嶠集選 [언론·출판]

    저자 이광사(1705-1777). 필사본 3책(결질). 필사본 3책으로 통상 10권 4책으로 전해지는 이본과 비교했을때 초권 1책(동국악부)과 '원교집선권제팔'에서 '원교집선권제십에 해당되는 원문이 빠진 영본이다. <원교집선>은 이광사의 시문을 수습한 것이다.

  • 원두표 / 元斗杓 [종교·철학/유학]

    1593(선조 26)∼1664(현종 5). 조선 후기의 문신. 송수 증손, 할아버지는 호, 아버지는 유남이다. 박지계의 문인이다. 나주목사, 전라도관찰사, 형조판서, 강화부유수,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 원릉친제제문초 / 元陵親祭祭文草 [역사/조선시대사]

    1807년(순조 7) 3월 12일, 순조가 원릉(元陵)에 친히 거둥하여 제사를 지낼 때 썼던 제문. 친제의 날짜는 ≪순조실록≫과 ≪승정원일기≫ 해당일의 기사에 근거하여 추정하였다. 이 제문은 순조가 직접 지었으며, 세 글자를 썼다가 말소하고 바꾼 것으로 보아 초고로

  • 원만리 / 元萬里 [종교·철학/유학]

    1624(인조 2)∼1672(현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호 증손, 할아버지는 유남, 아버지는 두표, 어머니는 최동식의 딸이다. 작은아버지 의성현령 두추에게 입양되었다. 1648년(인조 26)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음보로 형조좌랑이 되었다. 병조참의, 병

  • 원소호석배립장계 / 園所虎石排立狀啓 [정치·법제]

    1753년(영조 29) 9월 26일. 홍봉한(洪鳳漢)이 영조에게 어느 원소에 호석을 배진하고 배립하는 일에 대하여 진행 상황을 보고한 장계. 이 문서내용은 신시경에 호석을 배진하고 배치 장소를 측량, 결정하였으며, 내일 공역을 한다는 치계이다. 승정원을 거쳐서 국왕에게

  • 원손관례교서 / 元孫冠禮敎書 [정치·법제]

    1761년(영조 37) 원손 성과 왕손 인, 진에게 내리는 관례 교서. 이 교서는 절첩장의 형식으로 만들어져 있다.《승정원일기》에 왕세손의 관례 교서를 작성한 기사가 1761년(영조 37)에 실려 있다. 이 교서도 당시에 제작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이 문서는 작위

  • 원옹집 / 園翁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이의승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오도일에 의하여 수집, 그의 문집과 함께 오도일의 아들이 1728년(영조 4) 간행하였고, 그 뒤 1796년(정조 20) 저자의 증손 재항이 중간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 도서에 있다. 권두에 윤동수 서문과

  • 원유남 / 元裕男 [종교·철학/유학]

    1561(명종 16)∼1631(인조 9). 조선 중기의 무신. 할아버지는 송수, 아버지는 호, 어머니는 김광후의 딸이다.1583년(선조 16) 무과에, 1586년 무과중시에 각각 급제하였다. 창성부사, 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 원작전 / 元作錢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전세를 돈으로 환산하여 바치게 한 작전제도. 세곡을 조운으로 운송하기 곤란한 내륙 산간고을에 시행되었다. 1713년(숙종 39) 황해도 신계·곡산·서흥·수안·봉산 등 5읍에서 처음으로 시행하였는데, 이때의 작전환산율은 쌀 1석에 7냥, 전미 1석에 5냥,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