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금성정의록 / 錦城正義錄 [역사/근대사]
대한제국기 이병수가 전라도 나주지방 유생들의 창의 사실을 기록한 의병록. 목활자본. 1896년 1월부터 같은 해 3월초까지 유생들을 중심으로 일어 난 의병 봉기에서 해산까지를 날짜순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다른 지역의 의진과 주고받은 통문·창의문·제문·소 등도 수록하고
금속공 / 金屬工 [사회/사회구조]
금속을 가공, 조작하여 제품을 만드는 공원. 금속의 제련(製鍊)·전련(電鍊)·정련(精鍊)·용해(鎔解)와 재가열로·금속압연기 및 주형(鑄型)에 금속을 부어넣는 주형기의 조작이나, 금속 주조를 위한 모래주형·중자(中子)의 제조·가열·냉각화학처리, 금속의 물리적 특성변경,
금속공예 / 金屬工藝 [예술·체육/공예]
금속재료로써 다양한 기법을 이용하여 일상생활에 쓰이는 조형체를 만드는 일 또는 그 작품. 돌·나무·뼈 등을 주요 재료로 사용하던 신석기시대에 이어 구리[銅]가 인류 최초의 금속으로 등장함으로써 비로소 금속공예는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시기는 지역에 따라 큰 차이
금송계좌목 / 禁松契座目 [경제·산업/산업]
1838년(헌종 4)으로 추정되는 무술년(戊戌年)에 엮은 금송계에 관한 좌목. 16장 1책. 소고니면 가좌동(所古尼面可左洞:지금의 경기도 이천군 大月面 可左里)의 마을 사람들이 금송계를 조직하고 그 결성 동기·내규(內規) 등을 엮은 좌목이다. 이 책은 계원인 최병옥(崔
금송아지전 / 金─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활자본. 이본으로는 필사본 「금우태자전(金牛太子傳)」·「금독전(金犢傳)」·「금우전(金牛傳)」·「오색우전(五色牛傳)」, 그리고 활자본 「나한적강 금송아지전」 등이 현전한다. 이 작품은 석가여래가 될 금우태자의 변신과 덕행을
금쇄동집고 / 金鎖洞集古 [문학/고전시가]
조선 인조 때 윤선도(尹善道)가 자신이 지은 시조와 한시를 모아 친필로 엮은 가첩(歌牒). 단권. 국한문필사본. 이 가첩에는 <증반금 贈伴琴>·<추야조 秋夜操>·<춘효음 春曉吟> 등 시조 3수와 기타 한시(집고시)를 수록하고 있다. 시조의 경우 작품의 제작연대가 밝혀져
금수산 / 錦繡山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과 제천시 수산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015.8m. 단양에서 서쪽으로 33㎞ 지점에 있으며 치악산으로 이어진다. 국망봉·도솔봉과 함께 소백산맥의 기저를 이루며, 단대천(丹垈川)이 발원하여 남한강으로 흘러든다. 약 5백년 전까지는 백암산(白巖
금수암 / 金水庵 [종교·철학/불교]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구계산에 있으며 1910년 동호가 창건한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인 범어사의 말사이다. 1923년 석봉이 중건하였으며, 1953년 법홍이 심우당을, 1963년 대광명전을 건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당우로는 대광명전과 대웅전, 심우당
금수총화 / 錦繡叢花 [역사/조선시대사]
사물의 근원·연혁·일화 등을 모아 엮은 유서(類書). 6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서 편자와 필사 연도는 알 수 없다. 1책에 천도문(天道門)·지도문(地道門)·재상문(災祥門)·군도문(君道門) 상, 2책에 군도문 하, 3책에 인품문(人品門)·인륜문(人倫門)·인사문
금수회의록 / 禽獸會議錄 [문학/현대문학]
안국선(安國善)이 지은 신소설. 이 작품은 짐승과 곤충들이 개화기 당대의 인간사회를 비판하고 인간의 행위에 신랄한 규탄을 가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주로 불효·사대조성·부정부패·탐관오리·풍속문란 등 사회나 가정의 풍속적 타락에 대한 비판 외에도, ‘외국 사람에게 아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