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금성 / 金星 [문학/현대문학]

    1923년에 창간되었던 문예잡지. 손진태(孫晉泰)·양주동(梁柱東)·백기만(白基萬)·유엽(柳葉, 또는 柳春燮) 등이 창간한 시 중심의 문예동인지이다. 편집인 겸 인쇄에 유엽, 발행인에 일본인 야나미사와(柳美澤美子), 장정은 안석주(安碩柱)가 맡았다. 1923년 11월 9

  • 금성 / 錦城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나주 지역의 옛 지명. 940년(태조 23) 나주(羅州)로 고치고, 983년(성종 2) 나주목(羅州牧)으로 격상시켜, 전국 12목 중 하나가 되었다. 995년 절도사(節度使)를 두고 진해군(鎭海軍)이라 하고 해양도(海陽道)에 예속시켰다. 1010년(현종 1)

  • 금성 / 金城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김화 지역의 옛 지명. 고려 초기에 금성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018년(현종 9) 군으로 승격되었다가 다시 현으로 강등되어 교주(交州)에 속하였다. 1106년(예종 1) 감무를 두어 현으로 승격시켰으나, 1254년(고종 44) 강등하여 도령(道寧)이라 불렸다.

  • 금성결 / 禽星訣 [종교·철학/도교]

    금성의 변화로 인간의 길흉을 점치는 방법을 기록한 기문둔갑서. 점술서. 금성은 천금(天禽)·연금(年禽)·월금(月禽)·시금(時禽)으로 나누어지며, 나와 상대방의 생극·비화(比和) 등의 관계를 대조하여 길흉과 성패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금성은 천금을 위주로 하며, 천금은

  • 금성대군 / 錦城大君 [종교·철학/유학]

    1426(세종 8)∼1457(세조 3). 조선 전기의 왕자. 아버지는 세종,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이다. 1433년(세종 15) 금성대군에 봉해지고, 1437년 참찬 최사강의 딸과 혼인, 그 해 태조의 일곱 째 아들인 이방번의 후사로 출계하였다. 단종 복위를 계획하였

  • 금성별곡 / 錦城別曲 [문학/고전시가]

    1480년(성종 11)박성건(朴成乾)이 지은 경기체가. 1789년(정조 13)에 간행된 『함양박씨세보(咸陽朴氏世譜)』에 실려 있다. 총 6장으로, 작자가 금성(錦城 : 지금의 羅州)의 교수로 있으면서 가르친 제자 10인이 소과에 급제하자 그 감격을 자랑한 내용이다. 형

  • 금성사 / 錦城祠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고흥군 풍양면에 있는 대한제국기 에 건립된 사당. 이영명(李永明) 외 8인의 공신을 모신 사우이다. 1908년 흥양이씨(興陽李氏) 문중의 이중하(李仲河)가 건립하였으며, 정면 3칸의 맞배지붕인 목조건물로서, 매년 춘·추 중정일(中丁日)에 제향하고 있다.이 곳에

  • 금성산고성 / 錦城山古城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포곡식으로 축조된 성곽.산성. 조축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삼국시대부터 있었다고 믿어지고 있다. 조선시대 당시의 둘레는 2,946척이다.이 산성은 동쪽을 제외한 서·남·북면이 모두 험한 산비탈을 이루고 있고, 오직 동쪽만이 넓고 평탄하게

  • 금성읍지 / 金城邑誌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금성(현 김화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지방지.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내용구성은 강계(疆界)·방리(坊里)·도로·건치(建置)·군명·형승(形勝)·성지(城池)·관직·산천·성씨·풍속·능침·단묘(壇廟)·공해(公廨)·제언(堤堰)·창고·물산

  • 금성읍지 / 錦城邑誌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금성(현 나주시)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7년에 편찬한 지방지. 3권 2책. 목활판본. 표지에는 ‘羅州邑誌(나주읍지)’, 판심(版心)에는 ‘錦城邑誌(금성읍지)’로 되어 있다. 김영호(金泳鎬)가 소장하고 있다. 이밖에도 『호남읍지』에 수록된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