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벽진서원 / 碧津書院 [교육/교육]
광주광역시 광산구 벽진동에 있는 서원. 1604년(선조 3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광옥(朴光玉)의 덕행과 절의를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78년에 김덕령(金德齡)을 추가 배향하는 동시에 중수하였으며, 1681년(숙종 7) ‘의열사(義烈祠)’라고 사액
벽허담관제언록 / 碧虛談關帝言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승상 하유가 11남매를 혼인시키는 과정과 혼인 후에 전개되는 가정의 갈등과 음모를 다룬, 전형적인 가문소설이다. 여기에는 수많은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이들은 대체로 두 개의 대조적인 계층으로 나뉠 수 있다. 첫째 계층
변계량 / 卞季良 [종교·철학/유학]
1369(공민왕 18)∼1430(세종 12). 조선 전기의 문신. 주 증손, 할아버지는 원, 아버지는 옥란이다. 어머니는 조석의 딸이다. 이색·권근의 문인이다. 예문관응교, 수문전제학, 의정부참찬, 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춘정집≫ 3권 5책이 전한다.
변무사 / 辨誣使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왕실이나 국가의 중요사실이 중국에 잘못 알려질 경우 이를 해명 또는 정정하기 위하여 보내는 특별사절 또는 그 사신. 왕실이나 국가의 중요사실이 중국조정에 잘못 전해졌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어 문제가 야기되었을 때 이를 해명하고 그 정정을 요구하기 위해 파견되었
변무주 / 辨誣奏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정구(李廷龜)가 지은 글. 『월사집 月沙集』 권21의 「무술변무록」에 정문(呈文) 4편과 함께 실려 있다. 이정구가 35세 되던 1598년(선조 31)에 지은 총 3,309자로 된 장문이다. 정응태가 조선이 왜적과 제휴하여 중국을 침범하려고 한다고 중국
변박 / 卞璞 [예술·체육/회화]
생졸년 미상. 조선 후기의 화가. 자는 탁지(琢之), 호는 술재(述齋) 또는 형재(荊齋), 본관은 초계(草溪)이다. 동래부 소속의 화원이었다. 1763년(영조 39) 통신사행의 기선장(騎船將)으로 일본에 건너가 대마도지도와 일본지도 및 풍물을 모사하여 돌아왔다. 유작으
변시섬 / 邊始暹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3∼?). 증조부는 변유체, 조부는 변국빈, 부친 변익보, 외조부는 김추한이다. 29세 때 1801년(순조 1) 신유 식년시 을과 4위로 합격하였다. 벼슬은 지평에 이르렀다. 성품이 청렴결백하였고, 효성과 우애가 깊었으며, 근검절약하는 것으로
변정록 / 辯訂錄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유가류(儒家類) 이병헌(李炳憲) 편, 신연활자본, 불분권 1책(15장). 공자 학설 등 유교에 대해 변정한 책이다.
변중일 / 邊中一 [종교·철학/유학]
1575(선조 8)∼1660(현종 1). 조선 중기의 학자. 경장의 아들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 선조가 의주로 몽진하자 김성일이 초유사가 되어 의병을 모집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는 화왕성으로 달려가 박수춘·성안의·남사명·유복기·정사성 등과
별감복 / 別監服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궁중하례(宮中下隷)인 별감의 복식. 별감은 액정서(掖庭署) 소속으로 그 직책과 배속(配屬)에 따라 대전별감·중궁전별감·세자궁별감·세손궁별감의 구별이 있었다. 이들은 궁중의 크고 작은 행사에 동원되고, 임금의 행차 때는 어가를 시위하는 직분을 맡았으므로, 그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