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욱양서원 / 郁陽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욱금리에 있었던 서원. 1662년(현종 3)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황(李滉)과 황준량(黃俊良)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운곡서원 / 雲谷書院 [종교·철학/유학]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있는 서원. 1784년(정조 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권행의 공적을 추모하기 위하여 이 지역에 추원사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권산해, 권덕린을 추가배향, 운곡서원으로 개편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1868년(고종
운구서원 / 雲衢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에 있었던 서원. 1786년(정조 10)에 고려의 유신 홍재(洪載), 이오(李午), 조열(趙悅)을 향사하기 위해 삼가현(三嘉縣) 두심동(杜心洞)에 건립된 서원이다.
운담집 / 雲潭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오세웅의 논·서(序)·기·행장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연활자본. 현손 상봉(相鳳)이 유고를 모아 편집한 것을 6대손 정원(廷源)이 이어서 간행하였다. 『운담집』에는 1892년에 쓴 이심전(李心傳)·정재면(鄭在勉)·정재명(鄭在明)·이방규(李邦奎
운대만고 / 雲臺漫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이동태의 시·서(書)·설·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16권 8책. 필사본. 『운대만고』 권두에 자서(自序)인 「만고소서 漫稿小序」의 내용으로 보아 저자 생존시에 직접 쓰여진 고본(稿本)으로 보인다. 권1∼8은 시 1,409수, 권9·10은 주(奏) 1편
운사유고 / 雲沙遺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강준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5년에 간행한 시문집. 불분권 1책. 석인본. 자는 흥민(興民), 호는 운사(雲沙). 아버지는 강진태(姜鎭泰)이며, 어머니는 밀양박씨(密陽朴氏)로 박희묵(朴希默)의 딸이다. 1885년(고종 22)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그
운산구곡지로가 / 雲山九曲指路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2음보 1구로 하여 모두 60구이며, 음수율은 3·4조가 우세하다. 내용은 백운산(白雲山)구곡(九曲)을 정상 신선경에 이르기까지 차례로 노래한 것이다. 이 작품은 경상북도 봉화지방에서 수집된 필사본으로, 순한글로 되어 있어서 규방가사작품으로 보
운산서원 / 雲山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원황리에 있었던 서원. 1812년(순조 12)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백문보(白文寶)와 백현룡(白見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당시의 경내건물로는 경덕사(景德祠)·운산당(雲山堂)·신문(神門)·직방재(直方齋)·박약재(
운암서원 / 雲岩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구산리에 있는 서원. 1826년(순조 2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제(金濟)와 손순효(孫舜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 위패를 모셨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충절사(忠節祠)·강당·동재(東齋)·서재(西齋)·신문(神門)·전사청(典祀廳)
운영전 / 雲英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한문·한글 필사본. 한문본과 한글본이 있는데, 부분적인 차이는 있으나 대체의 줄거리는 동일하다. 한문본이 원본이고 한글본은 한문본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이본이라 여겨진다. 이 작품은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사궁 수성궁을 배경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