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금서집 / 琴棲集 [종교·철학/유학]

    금서 권주환의 시문집. 6권3책. 고종연간에 저자의 조카 유원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수에는 이만규가 지은 서문과 전체의 목록이 있다. 권1에는 「동야」 등 시 60수와 <정재선생만> 등 만사 37수가 있다. 권2는 「상정재선생」‚ 정민병에게 보내는 「여기주정장」 등

  • 금서헌일고 / 琴書軒逸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붕령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4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854년(철종 5) 5대손 진곤(鎭坤)·진규(鎭奎)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치구(柳致球)의 서문과 권말에 조기영(趙基永)·이형수(李亨秀)·진규 등의 발문이 있다.

  • 금석과안록 / 金石過眼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실학자 김정희가 진흥왕순수비 가운데 황초령비와 북한산비의 두 비문을 판독·고증한 고증서. 1책. 필사본. 『완당선생전집 阮堂先生全集』 권1에 실려 있는 「진흥왕이비고 眞興王二碑考」에서 제시된 견해를 자세한 고증을 통해 대폭 수정하였다. 끝에는 친구 조인영(趙寅

  • 금석문 / 金石文 [예술·체육/서예]

    쇠붙이나 돌로 만든 비석에 새겨진 글자. 우리 나라의 금석은 그 종류에 있어서 중국과는 다소 다른 특성을 띠고 있다. 중국에서는 금문이 앞서고 석문이 그 다음이 된다우리 나라에서는 청동기시대에 문자를 사용한 자료가 아직 발견되지 않았고 약간의 청동기가 출토되었으나 그림

  • 금석문집 / 錦石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배성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3년에 간행한 시문집. 8권 3책. 활자본. 1933년 배영대(裵永大)가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발문은 없고, 권말에 간기(刊記)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3에 시 382수, 권4에

  • 금석병용기 / 金石倂用期 [역사/선사시대사]

    청동(靑銅)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전에 순동(純銅) 중심의 동기(銅器)와 석기(石器)가 함께 사용되던 시대. 순동시대(純銅時代) 또는 동석시대(銅石時代)라고도 불린다. 역사적으로는 청동이 순동제품보다 많이 제작되기 시작해 석기와 함께 사용된 시기인 청동시대 이전의 시기

  • 금석주 / 琴錫柱 [역사/근대사]

    1857-1920. 의병장. 일명 종헌(鍾憲)·종응(鍾應)·석조(錫祚). 경상북도 봉화 출신. 명성황후시해사건 후 경상북도와 충청남북도일대에서 활약한 의병장이다. 1896년 경상북도 봉화에서 의병장으로 추대되어, 봉화·예안·영주·순흥·풍기·안동의 의진과 공동작전을 펴

  • 금석집 / 錦石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박준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6년에 간행한 시문집. 1816년(순조 16) 박준원의 아들 박종보(朴宗輔)에 의해 편집·간행되었다. 권두에 유한준(兪漢雋)의 서문이 있다. 권1∼4에 부(賦) 1편, 시 560여수, 권5∼7에 서(書) 99편, 권

  • 금석첩 / 金石帖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예술류(藝術類) 경성제국대학 편, 영인본, 1932, 불분권 1책(155면). 진흥왕순수비(眞興王巡狩碑) 등 비문, 액문 기타 필적의 석인본(石印本)을 경성제국대학에서 영인한 책이다.

  • 금선 / 琴線 [문학/현대문학]

    장정심(張貞心)의 시집. 4·6판. 212면. 1934년 한성도서주식회사(漢城圖書株式會社)와 가정사(家庭社)에서 간행하였다. 작자의 두 번째 시집으로 서문이나 후기는 없고, 모두 199편의 작품을 서정시·시조·동시 등 장르별로 나누어 편성하고 있다. 제1부 서정시편에는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