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법종 / 法宗 [종교·철학/불교]
1670(현종 11)∼1733(영조 9). 조선 후기의 승려. 12세에 옥잠장로를 은사로 하여 득도하였다. 화엄의 원돈법계설을 공부하다가 크게 깨달았다. 20여세에 묘향산에 들어가 도안에게서 대장경을 배웠고 도안의 제자 추붕의 법을 이었다. 그의 법맥은 휴정-편양-도안
법주사팔상전사리장엄구 / 法住寺捌相殿舍利莊嚴具 [예술·체육/공예]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법주사 팔상전에서 발견된 조선시대의 사리장엄구. 1605년(선조 38) 작. 대리석 합 높이 6.1㎝, 지름 10.6㎝이며, 은합 높이 3.3㎝.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1968년 9월 팔상전을 해체, 수리하던 중 심초석(心礎石)에 마련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언해 /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諺解 [언어/언어/문자]
고려의 지눌(知訥)이 중국의 불서인 『법집별행록』에서 요긴한 부분을 초록하고 자신의 의견을 덧붙여 편찬한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를 번역한 책. 불분권 1책. 목판본. 본문의 끝에 ‘가정원년 계춘유일(嘉靖元年 季春有日)‘이란 간기가 있는데, 가정
법천집 / 法川集 [종교·철학/유학]
강윤의 문집. 3권 2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서 정확한 간행 연도는 알 수 없다. 권1에는 시 127제 138수, 소 19편, 서 8편, 서 3편, 발 2편, 잡저 3편, 상량문 1편이 실려 있다. 권2에는 고유문 3편, 제문 18편, 비 3편, 묘지 1편,
법화경언해 / 法華經諺解 [언론·출판/출판]
1463년(세조 9) 《묘법연화경》을 세조가 구결을 달고 간경도감에서 번역한 책. 목판본 7권. 세조가 간경도감을 세워 불경 언해를 간행할 때,《능엄경언해》이어 간행. 언해본도 1523년(중종 18)·1545년(인종 1)경에 나주의 쌍계사, 1765년(영조 40)경에
벽계서원 / 碧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장기동에 있는 서원. 1860년(철종 1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강봉문(姜鳳文)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가 1
벽동향교 / 碧潼鄕校 [교육/교육]
평안북도 벽동군 벽동면 일동에 있는 향교. 태종 때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동재(東齋)·서재(西齋)·교관실(敎官室)·동서 및 협문·제기고(祭器庫) 등
벽로집 / 碧蘆集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의 여항시인(閭巷詩人) 김진수(金進洙)의 시집. 4권 2책. 필사본. 김진수 자신이 직접 편집했고, 그의 친구인 황종현(黃鍾顯)이 평(評)을 가한 것이다. 필사연대는 1856년(철종 7)으로 추정된다. 권두에는 황종현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는 유만공(柳晩恭)의
벽봉기 / 碧鳳旗 [정치·법제]
조선 시대 의장기의 하나. 노란 사각기로 벽봉과 청ㆍ적ㆍ백ㆍ황의 구름무늬를 그렸고 노란색의 화염각과 기각이 달려 있다. 대가 노부ㆍ법가 노부ㆍ소가 노부, 어장 등에 사용하였다. 행렬 중에 고자기 한 개가 왼편에 있고, 금자기 한 개가 오른편에 있으며, 다음은 가서봉 열
벽온신방 / 辟瘟新方 [언론·출판/출판]
1653년(효종 4)에 안경창이 편찬한 온역의 치료에 관한 의서. 1권 1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와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1653년 봄에 황해도에 여역(癘疫)이 크게 유행하였을 때 왕명을 받아 어의 안경창이 편찬하였다. 이 책은 『벽온방』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