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금산교회 / 金山敎會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있는 교회.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36호. ㄱ자형 평면의 한옥교회로 전주선교부의 테이트(Tate, L. B.) 선교사에 의해서 설립되었다. 내부는 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장축과 단축이 만나는 곳에 강단을 설치하였다. 장축인 남측은
금산구억리유적 / 錦山九億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구억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유적. 유물로는 돌검[石劍]과 돌살촉[石鏃]만이 출토되었는데, 돌검은 손잡이[柄部] 머리부분이 밖으로 벌어지지 않아 손잡이 전체가 납작한 막대기 모양을 한 통자루식[無段柄式]이다. 돌살촉은 단면이 마름모꼴의 긴 몸통에
금산군 / 錦山郡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의 동남단에 위치한 군. 동쪽은 충청북도 영동군, 서쪽은 논산시 및 전라북도 완주군, 남쪽은 전라북도 무주군과 진안군, 북쪽은 대전광역시와 충청북도 옥천군 등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7°19′∼127°38′, 북위 35°58′∼36°16′에 위치한다. 면적은
금산군읍지 / 錦山郡邑誌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정조 연간에 전라도 금산군(현 충남 금산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지방지. 1책. 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호남읍지』의 일부로 편찬된 것이 있고, 또 다른 종류의 『금산군읍지』가 한국민족미술연구소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금산농바우끄시기 / 錦山농바우끄시기 [생활/민속]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 느재마을에서 전승되는 공동놀이. 금산농바우끄시기는 하지가 지나도 비가 오지 않아 모내기를 못하거나, 모내기를 했더라도 논에 물이 없어 심은 모가 말라 죽게 될 상황에서 신에게 비를 내려달라고 기원하는 기우제 의식의 성격을 띤 놀이이다. ‘
금산백령성 / 錦山栢嶺城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에 있는 삼국시대 포곡식으로 축조된 백제의 성곽.산성. 시도기념물. 백령성은 금산군 남이면 역평리와 건천리 사이에 있는 해발 438m의 성재산(城在山)의 백령(栢嶺) 정상부를 감싸면서 축성된 백제 말기의 테뫼식산성이다. 백령성은 ‘백령산성(栢嶺山城
금산분지 / 錦山盆地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금산군 봉황천 유역에 있는 금산지역의 분지. 금산분지는 주로 금산읍 양지리·금성면 화림리·상기리·파초리 등이 위치한 곳이다. 금성초등학교가 있고 화림지, 석무저수지, 서갑지, 오룡저수지 등이 있다. 분지의 아래에는 비고 50m 내외의 낮은 구릉지가 발달해 있으
금산사 / 金山祠 [예술·체육/건축]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에 있는 조선후기 에 창건된 김유신·설총·최치원의 위패 배향 관련 사당. 신라 문무왕때 군창(軍倉)이 있었던 곳이라 한다. 1871년(고종 8) 흥무대왕(興武大王)김유신(金庾信)을 모시기 위해 건립하였는데, 경주의 서악서원(西嶽書院)과 같이 설총(薛
금산사사적 / 金山寺事蹟 [종교·철학/불교]
조선시대 승려 해안이 김제 금산사의 창건과 중수에 관한 내력을 수록하여 1635년에 간행한 사적기. 1권 1책. 필사본. 금산사의 창건 및 중수에 관한 종합적 기록으로서, 백제 때부터 진표(眞表)의 중건내역 및 고려·조선시대의 역대 명승들에 관해서 상세히 언급하고 있
금산사석종 / 金山寺石鐘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에 있는 고려전기 에 조성된 석종형 불탑. 높이 2.27m. 보물 제26호. 금산사 경내의 북쪽으로 송대(松臺)라고 부르는 고대(高臺)가 있고, 이곳에 이 석종형탑파(石鐘形塔婆) 1기가 있으며, 그 앞쪽에 오층석탑이 건립되었다.기단은 2단으로 매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