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금보정선 / 琴譜精選 [예술·체육/국악]

    조선시대 양표정의 「영산회상」·「소환입」·「취타」 등을 수록한 악보. 거문고악보·양금악보. 1책. 사본. 저작연대는 미상이다(庚午 또는 辛未). 이 악보에 찍혀 있는 도장을 살펴보면, 1928년 조선총독부 도서관으로 들어왔으며, 당시에도 고서(古書)로 분류되었음을 알

  • 금부 / 金部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상서호부에 속하였던 관서. 995년(성종 14)에 민관을 상서호부로 개칭할 때 민관의 속관인 금조를 상서금부로 바꾸었다. 기능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으며, 문종 이전에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

  • 금부발관책 / 禁府發關冊 [역사/조선시대사]

    개항기 의금부에서 각 도 감영과 육조 등으로 발송한 관문을 모아 엮은 책. 6책. 필사본. 1877년(고종 14) 2월부터 1894년 7월까지를 담고 있다. 관문의 작성형식에 있어서 제목은 없고 연월일·수신처·본문·당상관수결로 되어 있다. 많은 경우 관문 전달자의 이

  • 금북정맥 / 錦北正脈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안성의 칠장산(492m)에서 남하하여 충청남도 태안반도 안흥진(安興鎭)까지, 연장거리 295㎞에 이르는 산줄기. 연결되어 있는 주요산은 칠현산(七賢山, 516m)·청룡산(靑龍山, 400m)·성거산(聖居山, 579m)·차령(車嶺)·광덕산(廣德山, 699m)·차유령

  • 금불초 / 旋覆花 [과학/식물]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높이는 30∼60㎝로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한다. 잎은 어긋나고 긴타원형 또는 침상타원형이다. 꽃은 황색으로 7∼9월에 핀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꽃은 약으로 사용한다. 감기로 인하여 목에서 가래가 끓을 때 진해거담(鎭咳去痰)을

  • 금사동토성 / 金寺洞土城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정읍시 영원면에 있는 삼국시대 외성과 내성의 구조로 축조된 성곽.산성·토성. 시도기념물. 전라북도 기념물 제55호. 지정면적 355,396㎡, 둘레 4,759m. 현재 문지(門址)·수구문(水口門)·건물지(建物址) 등의 시설이 남아 있다.동서로 뻗은 산릉의 북사

  • 금사유집 / 錦沙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하윤구의 시·소· 서(書)·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1책. 필사본. 권두에 유최기(兪最基)·김영한(金寗漢) 등의 서문이 있다. 1977년『금사병암유집(錦沙屛巖遺集)』으로 영인, 간행되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국민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 금산 보석사 은행나무 / 金山 寶石寺 銀杏─ [과학/식물]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에 있는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제365호. 해발 300m 정도의 산록에서 자라며 보석사(寶石寺)로 들어가는 입구에 서있으며 나무의 나이는 1,000년으로 추정된다. 나무의 높이는 40m이고, 가슴높이의 원줄기 둘레는 10.4m이다. 가지의

  • 금산 요광리 은행나무 / 錦山 要光里 銀杏─ [과학/식물]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요광리에 있는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제84호. 행정마을의 입구에 서 있는 이 은행나무는 높이 20m, 가슴높이의 둘레가 12.4m에 이르는 노거수(老巨樹)로서 나무의 나이는 약 1000년으로 추정된다. 가지의 길이는 동쪽 4m, 서쪽 2.7m,

  • 금산공유고 / 金山公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조송년의 서(書)·제문·「잠야박선생지계문인록」 등을 수록한 문집. 1책. 필사본. 서문·발문이 없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본인의 서(書) 1편과 부록으로 「잠야박선생지계문인록(潛冶朴先生知誡門人錄)」·제문·「방호일록(方壺日錄)」·「가정전수심법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