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외방장계(승정원개탁) / 外方狀啓(承政院開坼) [정치·법제]

    1868년(고종 5) 2월 11일. 어느 외방의 도신이 국왕인 고종에게 교서의 반포와 관련하여 올린 장계. 내용은 '북부의 도사 조병업이 가지고 온 교서 1통을 도내의 각 고을에 다 반포한 뒤, 원교서를 감봉하여 올려보낸다.'고 하였다. 이 문서는 승정원을 거쳐서 국왕

  • 외재이단하내외분옷 / 畏齋李端夏內外分─ [생활/의생활]

    조선 중기의 문신 이단하(李端夏)와 그의 부인이 입었던 17세기 옷과 부속품 6점. 이 유물은 조선 중기 문신 이단하(李端夏: 1625∼1689)와 그의 부인이 정경부인의 신분으로 입었던 복식과 수식류 6점이다. 유물은 이단하가 좌의정 시절에 입었다고 전해지는 중치막(

  • 요계서원 / 蓼溪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목동리에 있었던 서원. 1694년(숙종 20)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화(金澕)·이상형(李尙馨)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95년(숙종 21)에는 김지순(金之純)과 김지백(金之白)을 추가배양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 요로원야화기 / 要路院夜話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숙종 때 박두세(朴斗世)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수필 형식의 단편산문. 1책. 필사본. 두 인물의 대화를 통하여 양반층의 횡포와 사회의 부패를 보여주는 것이 이 작품의 특징이다. 향토 양반들의 실태와 그들의 교만성을 서울 양반에게 빗대어 지적한다거나 양반의 허세에

  • 용고서원 / 龍皐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원동에 있는 서원. 1795년(정조 1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의손(柳義孫)·유분(柳坋)·유숭조(柳崇祖)·유헌(柳軒)·송진문(宋振門)·이익렬(李翊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 용곡서원 / 龍谷書院 [교육/교육]

    평안남도 대동군 용산면(현재의 평양특별시 만경대구역) 용봉리에 있는 서원. 1658년(효종 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선우 협(鮮于浹)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3년(숙종 9) ‘용곡(龍谷)’이라는 사액을 받아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

  • 용대서원 / 龍臺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 세심리에 있었던 서원. 1653년(효종 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성진(金聲振)·김광석(金光奭)·김원중(金元重)·김원건(金元建)·김원립(金元立)의 덕행과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 용만지 / 龍灣誌 [종교·철학/유학]

    1768년(영조 44)에 편찬된 평안도 의주부(지금의 의주군) 읍지. 2책. 필사본. 내용 구성은 강역·건치연혁·군명·관직·성씨·풍속·토산·형승·산천·도서·방리·호구·전부·요역·성지·관방·진보·군액·봉수·학교·단묘·불우·관애·누정·창고·도로·교량·진선·제언·장시·어염

  • 용만행재문하삼도병진공한성 / 龍灣行在聞下三道兵進攻漢城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호민(李好閔)이 지은 한시. 칠언율시이다. 그의 『오봉집(五峰集)』 권4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선조의 행재소가 있는 의주의 용만에서, 적의 수중에 들어간 서울을 삼도의 군사가 공격한다는 소식을 듣고, 어려운 처지에 있는 국왕의 착잡한 심경을 절실하

  • 용맹강설 / 庸孟講說 [종교·철학/유학]

    사서류(四書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23.8×20.9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중용강설(中庸講說)이다. 이재(李縡)의 ≪중용강설(中庸講說)≫(29장)과 ≪맹자강설(孟子講說)≫(29장, 공손축하(公孫丑下)부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