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금몽암 / 禁夢巖 [예술·체육/건축]

    단종 유적지. 강원도 영월에 있는 암자로 조선시대 단종(端宗)이 귀양을 와서 머물다가 죽음을 맞이한 곳이다. '금몽(禁夢)'은 단종이 왕위를 사양하기 전, 금중(禁中)에 있을 때 이 곳을 노니는 꿈을 꾼 적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암자가 처음 세워진 것은 1592년(

  • 금문사목 / 禁紋事目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영·정조 연간에 사치 풍조를 막기 위해 무역 금지물품 종류를 규정한 법제서. 사목. 1책 12장. 목판본. 사행(使行) 때 중국과의 무역에서 문주가 많이 수입되어 사치 풍조가 심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내린 것이다. 내용은 선조수교(先朝受敎)·당조수교(當朝受敎

  • 금방울 [문학/현대문학]

    1921년 광익서관(廣益書館)에서 발행한 오천원(吳天園)의 번역동화집. 『금방울』은 오천원이 안데르센 동화를 비롯하여 여러 외국동화를 고르고 번역해서 편집한 외국동화 번역집이다. 이 번역동화집은 아동성(혹은 아동의 마음)의 발견을 통하여 어린이의 고유성과 존귀함을 인정

  • 금방울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 작품은 금방울의 탈을 쓴 금령이 남자주인공을 도와 괴수를 퇴치하고, 액운이 다한 뒤 탈을 벗고 둘이 부부가 된다는 설화적 요소가 짙은 전기소설이다. 이 작품은 중국을 배경으로 하여 여주인공 금령이 금방울모양으로 태어나서 벌이는 신기담을

  • 금번집략 / 錦藩集略 [역사/근대사]

    조선후기 문신 이헌영이 충청도관찰사 재임기간 동안의 사건을 기록한 일지. 공무일기. 1책. 필사본. 종정경(宗正卿)으로 있던 필자가 1894년 4월 25일 조병호의 후임으로 충청도관찰사를 제수 받은 날부터 시작해서 8월 29일 병으로 의원 면직할 때까지의 일기, 정부

  • 금범전집 / 錦帆全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윤치희의 시·소차· 진퇴록·몽향일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고종 말년경 윤치희의 자손들에 의해 편집된 듯하나, 전질 중 몇 권은 아직 완성되지 못한 부분이 더러 있고, 또 권차(卷次)도 미정인 부분이 있다. 63권 31책. 필사본.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

  • 금보 / 琴輔 [종교·철학/유학]

    1521(중종 16)∼1584(선조 17).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금원수, 어머니는 안동김씨로 장령 김영수의 딸이다. 이숙량·오수영과 더불어 삼절이라 불리었다. 저서로는『사서질의』·『심근강의』·『가선휘편』·『사례정변』·『사례기문』등이 있었으나 병화에

  • 금보 / 金寶 [정치·법제]

    금으로 제작된 왕과 왕비의 의식용 도장. 왕과 왕비의 도장인 어보(御寶)는 재질에 따라 금보와 옥보로 구분된다. 금보는 왕과 왕비의 시호, 존호, 묘호, 휘호 등을 새기며 주로 거북이 혹은 용이 조각되어 있다.

  • 금보가 / 琴譜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속기아(續箕雅)』 및 『장편가집(長篇歌集)』에 실려 있다. 4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모두 65행이다. 내용은 태평성대의 올바른 음악이었던 순금(舜琴)을 찬양하고, 그 거문고의 갖춤새와 성률을 도덕적인 견지에서 부연 설명하였

  • 금보전서 / 琴譜全書 [예술·체육/국악]

    1916년 한우석(韓玗錫)이 팔음·서금양금범례·현금현성 등을 수록한 악보. 1책. 사본. 이 악보는 한우석이 그의 악우인 이강협(李康協)에게 주기 위하여 등서(謄書)한 것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서(序)·팔음(八音)·서금양금범례(西琴洋琴凡例)·생황(笙簧)·현금현성(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