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거동사대웅전 / 巨洞寺大雄殿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거동사에 있는 조선전기 에 창건된 사찰건물.불전. 시도유형문화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식 맞배지붕건물. 거동사는 신라 때 의상대사가 창건하였으며 조선시대까지 대찰이었다고 하나 자세한 내력은 전하지 않는다.
거북선 / 龜船 [과학/과학기술]
임진왜란 당시 수전에서 활약한 거북 모양의 전투선. 거북선은 조선 수군의 주력 전선인 판옥선(板屋船)의 상체 부분을 개량해서 덮개를 덮은 구조이다. 판옥선은 바닥이 평평한 선체 위에 그보다 폭이 넓은 갑판을 2층 구조로 만든 전선이다. 1층 갑판에는 한국식 노를 설치하
거북선축제 / ─船祝祭 [생활/민속]
전라남도 여수시 일원에서 행해지는 향토문화제. 이 행사는 매년 5월 5일부터 3일간 펼쳐진다. 1967년부터 시작되어 1998년 현재 32회에 이르고 있다. 1967년 제1회 진남제에서는 거북선 모형이 여수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그리고 1975년 제9회 때부터 관주
거사가 / 居士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규장각본(奎章閣本) 『가집(歌集)』1과 고려대학교 소장본 『악부(樂府)』 상(上)에 실려 있다. 4음 2음보를 1구로 계산하여 총 114구로 되어 있다. 불도(佛道)를 닦는 데 전념해야 할 거사가 파계하기까지의 과정을 등장인물인
거사시문 / 居士詩文 [종교·철학/유학]
원천 홍우건의 문집. 7권 4책. 필사본. 홍우건이 자신의 저술을 연도별로 정리해놓은 것을 후대에 정리한 시문집이다. 필사본이며 7권 4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간행년도는 미상이다. 권별로 1831년부터 1837년까지 총 7년간의 저술이 각각 수록되어 있으며, 문집의
거산도 / 居山道 [경제·산업/교통]
조선시대 함경도 북청(北靑)의 거산역(居山驛)을 중심으로한 역도(驛道). 중심역은 찰방이 소재하였다. 거산도의 관할범위는 함흥(咸興)-홍원(洪原)-북청(北靑)-이원(利原)-단천(端川)-길주(吉州)-명천(明川)에 이어지는 역로와 북청에서 갑산(甲山)-삼수(三水)로 이어지
거암유고 / 蘧庵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송인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석활자본. 1938년 송태섭(宋台燮)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준필(宋浚弼)의 서문과 권말에 송종술(宋種述)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 220수, 권2·3
거업록요어 / 居業錄要語 [종교·철학/유학]
명나라 학자 장길이 호거인의 『거업록』을 요약하여 1507년에 간행한 유학서. 『거록업요어(居業錄要語)』는 권말에 수록된 양정용(楊廷用)이 지은 「거업록발(居業錄跋)」(1519년)에 의하면, 1507년에 장길이 간행하여 영남지방에 주로 보급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
거영일기및계본등록 / 居營日記─啓本謄錄 [언론·출판/출판]
조선후기 무신 이운룡이 수군통제사로서의 업무 등을 기록한 일지.공무일기.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2호. 1980년에 지정된 142-1호는 『거영일기』 1책과 『계본등록』 2책이다. 『거영일기』는 이운룡 장군이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겸 삼도수군통제사로 부임한 1605년(
거제기성관 / 巨濟岐城館 [예술·체육/건축]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면에 있는 조선전기 거제현 7진의 군영 본부로 사용하기 위해 건립된 관청.객사. 시도유형문화재. 본래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1호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거제칠정(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46호) 등과 통합되어 2007년 7월 31일 사적 제484호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