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1,31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남원 실상사 승탑 / 南原實相寺僧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에 있는 고려시대 팔각원당형 석조 불탑.부도. 보물. 보물 제36호. 높이 3.2m. 팔각원당의 일반적인 양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이 부도는 8각으로 된 지대석에는 아무런 문양이 없고 그 위에 하대석이 놓였다.하대석도 8각으로 밑에 높직한

  • 남원도 / 南原道 [지리/자연지리]

    고려시대 22개 역도 가운데 하나. 그 중심역은 은령역(銀嶺驛 : 지금의 전라북도 남원)이다. 남원도의 관할지역 범위는 남원∼전주, 남원∼산청, 남원∼광주, 남원∼순천 등에 이어지는 역로이다.

  • 남을진 / 南乙珍 [종교·철학/유학]

    1331∼1393. 고려 후기의 충신. 할아버지는 익저, 아버지는 천로이다. 1368년(공민왕 17)에 현량과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거쳐 참지문하부사에 이르렀다. 정몽주·길재와 교유가 있었으며, 고려말에 정치가 문란하여지자 양주의 사천현 봉황산에 은거하였다.

  • 남해금산봉수대 / 南海錦山烽燧帶 [경제·산업/통신]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에 있는 봉수대. 경상남도 기념물 제87호. 『세종실록』 지리지에 보면, 곤남군에는 봉화가 세 곳 있는데, 금산봉화는 남해도 동쪽에 있으며 서쪽으로 본도(本道) 소흘산봉화와 연락한다고 하였다. 『경상도지리지』에 보면, 금산연대봉화는 남해도

  • 남해당지 / 南海堂址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에 있는 고려시대 이후 남해신에게 제의를 행하던 제사터.시도기념물. 전라남도 기념물 제97호. 지정면적 8,291㎡. 남해신당제(南海神堂祭)는 나라에서 제사를 지내던 3대 해신당제(海神堂祭)의 하나로, 고려 때 전라남도에서는 가장 먼저 국제(國祭)

  • 남해안석사놀이 / 南海岸石射놀이 [생활/민속]

    경상남도 남해안 지역에서 음력 8월 15일에 행해지는 민속놀이. 경상남도 남해안의 도서지역이나 해안가에서 추석 때 돌을 던져 나무를 맞추는 놀이로서, 석전(石箭)이라고도 한다. 석사놀이는 돌을 던져 목표물을 맞히는 방식이므로, 석전(石戰)과 관련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남행월일기 / 南行月日記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이규보(李奎報)가 전주지방을 유람하고 지은 기행문. 「남월행일기」는 작자 이규보의 수필적 인식에서 기필(起筆)한 기행문으로서 노정의 제시, 정경의 묘사, 지방색의 표현, 다양한 제재, 감흥의 표출 등 기행수필로서의 내용적·형식적 요건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 낭사 / 郎舍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에 소속된 정3품 이하의 관원에 대한 총칭. 중서문하성의 명칭 변경에 따라 성종 때에는 내사문하성낭사, 문종 때에는 중서문하성낭사, 1369년(공민왕 18) 이후에는 문하부낭사로 불렀다. 낭사는 내사문하성이 발족된 982년(성종 1)에 처음 설치되어

  • 낭장 / 郎將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정6품 무관직. 중앙군조직에서 중랑장 바로 아래 직위인 다섯번째 계급이다. 정6품관으로서 이군육위에 222인이 소속되어 있었으며, 응양군을 제외한 각 영(領)에 5인씩 배속되어 200인으로 조직된 부대에서 지휘관 구실을 하였던 것 같다. 도부외(都府外) 3

  • 낭주 / 朗州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영암 지역의 옛 지명. 백제의 월내군(月奈郡)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영암군으로 고쳤고, 영현으로 고안현(固安縣)이 있었으며 무주(武州)에 속하였다. 995년(성종 14) 낭주안남도호부(朗州安南都護府)로 하였고, 1018년(현종 9) 영암지군사(靈巖知

페이지 / 13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