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고전시가 총 84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고전시가
수남방옹가 / 水南放翁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정훈(鄭勳)이 지은 가사. 자신을 소재로 그의 생활을 읊은 작품이다. 작자의 문집 『수남방옹유고(水南放翁遺稿)』에 전한다. 현재 남은 부분은 92구 8단이다. 내용은 제1단 서(序, 10구) 계산(溪山)과 지은이, 제2단 10구 춘경(春景), 제3단 20구
수덕활인경세가 / 修德活人警世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1929년경상북도 상주의 동학본부에서 국한문혼용본과 국문본 2종으로 발간되었고, 『용담유사』 권27에 수록되어 있다. 실제 작품은 「경세가(警世歌)」 1편으로 되어 있다. 동학가사 중에는 「경세가」가 두 편이 더 있는데, 『용담유
수도가 / 修道歌 [문학/고전시가]
근대기 가집에 나옹화상 작품으로 전하는 불교가사. 3·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선 수행의 과정과 득도 후의 열락을 노래한 불교가사이다. 표제는 「나옹화상수도가」이며 「나옹화상증도가」의 이본이다. 「나옹화상증도가」의 서두에서 화자는 청산 깊은 곳에 초옥을 지어두고
수사공강응환가전유물 / 水使公姜膺煥家傳遺物 [문학/고전시가]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암치리 강응환가(姜膺煥家)에 전하는 강응환의 유품. 영정(影幀)·지도(地圖)·저술(著述)·교지(敎旨) 등 4종 12점.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0호. 강응환은 일반적으로 강수사공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말년에 경상좌도수군절도사(慶尙左道水軍節度使)
수선곡 / 修善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정조 때의 승려 지형(智瑩)이 지은 불교가사. 1795년(정조 19)경기도불암사(佛巖寺)에서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4·4조 연속체로 모두 174구이다. 내용은 사람이 귀천노소 나와 남을 가릴 것 없이 온갖 고초를 타고 세상에 났으나, 선심적덕을 갖추어 행하여 생
수신동경가 / 壽辰同慶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전체의 분량은 2율각(二律刻) 1구로 헤아려 195구로, 형식은 4·4조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며, 율조도 아주 단조롭다. 지은이는 내용에 의하면 후조당(後凋堂)의 후손이며 이황(李滉)의 후손가의 며느리로 추정된다. 내용은 “어와 친○들아/이
수양산가 / 首陽山歌 [문학/고전시가]
십이가사의 하나. 작자와 제작연대는 미상이다. 『정선조선가곡』·『교주가곡집』에 수록되어 있다. 십이가사 중 「백구사 白鷗詞」·「죽지사 竹枝詞」 등이 정격(正格)으로 불리는 데 반해, 이 노래는 「처사가 處士歌」 등과 더불어 변격(變格)으로 불린다. 잡가와의 구별이 그리
수운가사 / 水雲歌辭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집. 1책(총 140면). 국한문 혼용 필사본. 수운(水雲)이라는 최제우(崔濟愚)의 호를 가사집 이름으로 한 것으로 보면 『수운가사』는 최제우의 동학사상을 이어 받아 전수한 가사집이라고 할 수 있다.『수운가사』에는 10편의 가사작품이 수록되어
수월정가 / 水月亭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지어진 작가 미상의 가사. 수월정의 주인인 송인(宋寅)이 작가가 아닌가 추측되기도 하나 확인된 바 없다. 이수광의 『지봉유설(芝峰類說)』 권14, 문장부 7의 ‘가사(歌詞)’조에서 긴노래로 「감군은」·「한림별곡」·「어부가」가 가장 오래 되었고, 근세에는 「
수월정청흥가 / 水月亭淸興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인조 때 강복중(姜復中)이 지은 시조. 21수의 연시조로, 강전섭(姜銓爕) 소장본 『수월정청흥가첩 水月亭淸興歌帖』(晉山姜氏世譜草 附錄)과 강원기(姜遠起) 소장본 『청계망사공유사가사 淸溪妄士公遺事歌詞』에 수록되어 전해오고 있다. 강복중은 때를 만나지 못하여 산림에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