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 현 대 4,70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현 대
  • 태릉선수촌 / 泰陵選手村 [예술·체육/체육]

    1966년 6월 일선 지도자 및 국가대표선수의 강화훈련을 위하여 대한체육회가 설립한 종합 선수합숙훈련장.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에 있다. 각 경기종목의 국가대표 및 예비 국가대표선수들을 수시로 입소시켜 합숙훈련을 가짐으로써 팀워크를 재정비하고, 전력의 집중적인 향상을

  • 태백산공업지역 / 太白山工業地域 [경제·산업/산업]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경계를 이루는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태백산을 중심으로 강원도 남부 지역의 삼척·태백·영월과 강릉·동해 지역을 비롯하여 충청북도의 제천·단양·충주, 경상북도의 문경 등 3개 도의 넓은 지역에 걸쳐 지하자원이나 임산자원, 수산자원,

  • 태백산맥 / 太白山脈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咸鏡南道) 안변군(安邊郡)의 황룡산(黃龍山, 1,268m) 부근에서부터 부산(釜山)의 다대포(多大浦)에 이르는 산맥. 낭림산맥(狼林山脈)과 함께 우리나라의 중추를 이루는 척량산맥(脊梁山脈)으로 길이 약 500㎞ 정도의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산맥이다. 세분하여

  • 태음력 / 太陰曆 [과학/과학기술]

    달이 차고 기울어지는 현상을 기초로 하여 만든 달력. 음력이라고도 부른다. 역(曆)을 엮는 기본 단위로는 주야인 1태양일(太陽日), 달의 위상(位相) 변화인 1삭망월(朔望月), 계절의 변화인 1회귀년(回歸年)이 있다. 이 중에서 1일과 1삭망월을 취하는 역을 태음력 또

  • 태장봉화전가 / 胎藏峰花煎歌 [문학/고전시가]

    이귀자(李貴子)가 지은 규방가사. 1955년 3월에 지었다. 모두 588구이며, 4·4조로 되어 있다. 내용은 겨울이 가고, 꽃피고 새가 지저귀는 화창한 봄을 맞아 여러 벗들과 뜻을 모아 날을 정하여 성대히 단장을 하고, 화전놀이에 필요한 준비물을 마련하여 구경꾼이

  • 태장봉화전가 / 胎藏峰花煎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앞부분의 일부가 훼손되어 불완전본이다. 지어진 연대는 1945년 이후로 추정된다. 작품 내용에 무궁화와 신작로를 닦는 남포소리 운운한 것으로 보아 대한민국정부 수립 이후 강릉시내에 아직 전기가 가정등용으로 공급되지 않은 때인 듯하다. 현재

  • 터다지기노래 [문학/구비문학]

    집터를 다질 때 부르는 민요. 노동요의 하나이다. 동네사람들이 무리를 지어 흔히 밤에 주로 집터를 다지며 흥겹고 억세게 부른다. 이 민요는 남성노동요이면서도 기복적(祈福的) 기능이 짙게 드러나며, 작업과 밀착되어 불리는 특징을 지닌다. 가사는 대체로 명산대천의 정기가

  • 터벌림춤 / 터벌림춤 [예술·체육/무용]

    경기도 남부지방의 도당굿에 나오는 춤. 터벌림춤은 무녀들이 추는 것, 남무가 추는 것, 또는 남녀무당들이 혼합하여 추는 것 등이 있다. 형식은 보통 두 사람의 대무(對舞), 또는 네 사람이 춘다. 기본 춤사위는 꽹과리를 치면서 제자리에서 왼발을 왼쪽으로 발꿈치를 꺾어올

  • 토끼와 호랑이 [문학/구비문학]

    동물담에 속하는 설화 유형군의 하나. 토끼와 호랑이의 관계를 이야기하는 설화가 단일 유형으로 존재한다기보다 다수가 존재하므로 유형군이라 할 수 있다. 이 유형군에 속하는 설화 유형들은 다음과 같다. ① 호랑이에게 잡힌 토끼가 호랑이에게 자신은 뭇짐승들이 모두 도망갈 정

  • 토산당본풀이 / 兎山堂本─ [문학/구비문학]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토산리에 있었던 여드렛당신의 내력담. 토산리에는 이렛당과 여드렛당이 있는데, 그 제일(祭日)이 각각 7·8일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전자는 마을의 위쪽에 있다 하여 ‘웃당’, 후자는 아래쪽에 있다 하여 ‘알당’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

페이지 / 47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