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완월회맹연 / 玩月會盟宴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80권 180책(또는 180권 93책). 국문 궁체 필사본. 이 작품에 나타난 사상은 철저한 유교사상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한결같이 그들 스스로를 유가라 일컫고 있고, 또 그렇게 행동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은 불교를 가리켜

  • 완판본 / 完板本 [언론·출판/출판]

    조선시대 전주 지방에서 출판된 방각본. 17세기 전라도 태인 지방에서 손기조·전이채·박치유 등 아전 출신 인사들이 간행한 책이 방각본의 원류. 18세기에 그 주류가 전주 지방으로 옮겨 전주의 방각본을 형성. 담당층이 서리 중인층으로부터 서민 출신의 상공층으로 바뀌어

  • 왕경룡전 / 王慶龍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한문본. 이본으로 「왕어사경룡전(王御史慶龍傳)」·「청류지열녀(靑樓之烈女)」 등이 있다. 중국을 배경으로 하여 기생과의 애정관계를 다룬 작품이다. 작품의 시대배경이 명(明)나라 가정연간(嘉靖年間)으로 되어 있고, 중국 소설과의 연관성으로 보

  • 왕비호전 / 王飛虎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활자본. 이본으로 「왕장군전(王將軍傳)」이 있으며, 내용은 동일하다. 주인공 왕장군의 영웅적 활약상을 그린 영웅소설이다.「왕비호전」의 시대배경은 혼란한 중국 조정과 주위의 여러 오랑캐들의 끊임없는 충돌상황으로 설정되어 있다.

  • 왕세손(의소세손)시호망단 / 王世孫(懿昭世孫)諡號望單 [정치·법제]

    영조의 왕세손 의소세손의 시호를 의정하기 위해 1752년(영조 28) 3월 빈청에서 국왕의 낙점을 바라며 올린 왕세손시호 망단. 이 망단은 의소세손의 시호로서 '의소(懿昭), 충헌(沖獻) 의회(懿懷)'의 세 가지를 써서 삼망을 갖춘 것인데 이에 대해 영조는 첫 번째의

  • 왕세손(헌종)정명망단 / 王世孫(憲宗)定名望單 [정치·법제]

    순조의 아들 효명세자와 세자빈 풍양조씨 사이에 태어난 아들, 곧 순조의 손자의 이름을 의정하기 위해 1829년(순조 29) 11월 빈청에서 올린 왕세손정명 망단. 이 망단은 세 자를 써서 삼망으로 올린 것인데, 이에 대해 순조는 첫 번째 글자에 점을 찍었다. 각 글자의

  • 왕세손(헌종)정자망단 / 王世孫(憲宗)正字望單 [정치·법제]

    순조의 아들 효명세자와 세자빈 풍양조씨 사이에 태어난 아들의 자를 의정하여 1829년(순조 29) 11월 빈청에서 올린 왕세손정자 망단. 이 망단은 왕자의 자로 '문응(文應)' 한 가지를 써서 단망으로 올린 형태인데, 자 아래에는 출전이《주역》임을 밝히고 있다.

  • 왕세손(현종)정명망단 / 王世孫(顯宗)定名望單 [정치·법제]

    인조의 손자, 즉 효종의 원자(현종)의 이름을 의정하기 위해 1648년(인조 26) 9월에 빈청에서 인조의 낙점을 바라며 올린 왕세손정명 망단. 이 망단은 그 이름 글자로 '군, 우, 원'의 세 자를 써 삼망으로 올린 것인데, 이에 대해 인조는 세 번쩨 글자에 점을 찍

  • 왕세손(현종)정자망단 / 王世孫(顯宗)定字望單 [정치·법제]

    효종과 인선왕후 사이에 태어난 왕세자(현종)의 자를 의정하기 위해 1651년(효종 2) 6월에 빈청에서 국왕의 낙점을 바라며 올린 왕세자정자 망단. 이 망단은 왕세자의 자로 '경직, 언직, 건중'을 써 삼망으로 올린 문서인데, 이에 대해 효종은 첫 번째의 망 '경직'에

  • 왕세자(경종)정명망단 / 王世子(景宗)定名望單 [정치·법제]

    희빈장씨 소생인 숙종의 원자의 이름을 의정하기 위해 1690년(숙종 16) 4월에 빈청에서 국왕의 낙점을 바라며 올린 왕자정명 망단. 이 망단은 원자의 이름 글자를 '윤, 전, 완'의 세 자를 써서 삼망을 갖춘 것인데, 이에 대해 숙종은 첫 번째의 망 '윤'자에 점을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