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온계선생문집 / 溫溪先生文集 [언론·출판]
이해(1496-1550), 목판본. 문집 구성은 4권 3책이다. 권수에 이상정의 서문을 시작으로 총목이 있으며, 시 1권, 부, 시의 습유 1권, 부록 2권과 별책으로 된 세계도, 연보로 이루어져 있다.
온릉 / 溫陵 [역사/조선시대사]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있는 조선 제11대 왕 중종 비 단경왕후 신씨의 능. 사적 제210호. 단경왕후 신씨는 1506년 반정으로 중종이 등위하자 왕비로 책봉되었으나 7일 만에 폐출되었다. 그 후 승하하자, 친정인 신가묘역에 묻혀 있었다. 1739년(영조 15)
옹고집전 / 雍固執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원래 판소리 열두마당의 하나였다고 하나, 판소리로는 전해지지 않는다. 이 작품은 설화소설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동냥 온 중을 괄시해서 화를 입게 되었다는 설정은 ‘장자못이야기’와 상통하는데, 부자이면서 인색하기만
옹정서원 / 甕井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옹중리에 있었던 서원. 1694년(숙종 2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최생명(崔生明)·최계성(崔繼成)·손홍적(孫弘積)·김석량(金錫良)·최활(崔活)·최명룡(崔明龍)·김단(金湍)·채달주(蔡達周)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와계집 / 臥溪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김성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1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71년 작자의 7대손 병은(秉殷)과 8대손 원대(元大)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원대의 서문과 권말에 병은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시 247수, 권2는 서(書) 7편,
와룡선생출사전 / 臥龍先生出師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중국 삼국시대 촉한(蜀漢)의 정치가인 제갈량(諸葛亮)의 혼인담을 비롯하여,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로 거사를 도모하기까지의 제갈량의 행적을 소설체로 엮은 글이다. 이 작품은 「삼국지연의」에서 파생된
와사옥안 / 蛙蛇獄案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문필사본. 이두문(吏讀文)으로 된 우화소설이다. 이 작품은 우리 고전소설 가운데에서 유일한 이두소설(吏讀小說)이다. 이 작품은 동물인 개구리와 대망의 재판을 통하여 조선시대에 있어서의 재판의 모순을 풍자하고 있는 내용으로, 풍
와유록 / 臥遊錄 [문학/한문학]
고려시대부터 18세기 무렵까지의 산수유기(山水遊記)를 모아 엮은 견문록. 7권 7책. 필사본. 편자·연대는 미상이다.『와유록』은 조선 중기 이후 문인들의 산수유람 욕구가 매우 강해짐에 따라 산수유람의 기록을 모아 유람의 안내서 구실을 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 직접 산
완구유집 / 宛丘遺集 [언론·출판]
저자 신대우(1735-1809). 목판본. 10권 2책. 이 책은 일반 문집과는 달리 시는 없고 문만 수록되었다. 따로 서문과 발문이 없고, 권두에 총목이 있다. 2책을 문체별로 분류하여 10권으로 나눈 것도 이례적일 뿐만 아니라, 권1을 잡저로 시작하는 것도 매우 특
완암집 / 浣巖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정내교의 시·기·전·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필사본. 1765년(영조 41) 홍자순(洪子順)이 편집하여 홍봉한(洪鳳漢)의 주선으로 전라감영에서 간행한 것이다. 권두에 이의숙(李宜叔)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홍봉한의 발문이 있다. 권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