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 현 대 4,70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현 대
  • 충청도방언 / 忠淸道方言 [언어/언어/문자]

    충청남북도에서 사용되는 방언. 충청도 방언의 자음은 19개(ㅂ, ㅃ, ㅍ ; ㄷ, ㄸ, ㅌ ; ㄱ, ㄲ, ㅋ ; ㅅ, ㅆ ; ㅎ ; ㅈ, ㅉ, ㅊ ; ㅁ, ㄴ, ㅇ ; ㄹ)이다. 단모음은 10개(ㅣ, ㅔ, ㅐ ; ㅡ, ㅓ, ㅏ ; ㅜ, ㅗ ; ㅟ, ㅚ)로서 대부분의 지

  • 치맛바람 [사회/사회구조]

    여성의 어떤 극성스러운 사회적 활동을 가리키는 말. 글자대로 풀이하면, 치마를 입고 움직여서 생기는 서슬, 또는 옷을 정식으로 갖춰 입지 않고 치마저고리 정도만 걸치고 나서는 여인의 차림새를 뜻한다. 이는 여인이 치맛바람을 일으키며 설친다는 평범한 어원에서 비롯한 것이

  • 치부설화 / 致富說話 [문학/구비문학]

    가난한 사람이 부자가 되는 내용의 설화. 많은 사람이 부자가 되었으면 하는 희망을 오랫동안 지녔으므로 이에 해당하는 설화가 적지 않다. 그러나 구성상의 묘미가 있어 흥미롭게 받아들여지고 널리 전해질 수 있는 이야기라야 실화가 아닌 설화로 정착되기에 치부설화의 유형은 몇

  • 치우담 / 癡遇譚 [문학/구비문학]

    어리석고 모자란 사람들의 어리석은 행동을 중심으로 한 설화. 소담(笑譚)의 한 종류이다. 흔히 ‘바보’ 이야기로 일컬어지나, 이 유형의 모든 주인공이 반드시 바보는 아니며, 본의 아니게 어리석은 행동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치우담 속에 자주 등장하는 주인공들로는 어

  • 치음 / 齒音 [언어/언어/문자]

    윗니 가운데 앞니에 혀끝을 대고 발음하는 언어음. 현대국어의 ‘ㄷ, ㄸ, ㅌ’과 ‘ㄴ’의 음은 엄격히 말해서 혀끝을 윗니의 뒤쪽에 대고서 파열시키는 치음들이나, ‘ㅅ, ㅆ’은 혀끝을 아랫니의 뒤쪽에 대고 동시에 혀의 앞부분을 윗잇몸에 대면서 마찰시키는 치조음이다. 현대

  • 친족관계 / 親族關係 [언어/언어/문자]

    어휘나 문법 면에서 공통의 조상 언어로부터 물려받은 유사점을 보이는 둘 혹은 여러 언어들을 하나의 언어 가족(language family, 어족)으로 묶고 이들 사이의 관계를 지칭하는 역사언어학 용어. 역사언어학에서 둘 혹은 여러 언어들이 어휘나 문법의 면에서 서로 유

  • 친족어 / 親族語 [언어/언어/문자]

    혈연(血緣) 또는 혼인(婚姻)으로 형성된 친족 관계(親族關係)를 나타내는 말. 우리나라는 가족 관계를 중시하는 문화로 인해 친족어가 발달되었다. 혈연이나 혼인으로 이루어지는 친족 명칭은 남성과 여성의 구별, 친가(親家)와 외가(外家)의 구별 등의 기준에 바탕을 두고 친

  • 칠교놀이 / 七巧─ [생활/민속]

    7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정사각형의 도형을 이리저리 움직여 여러 가지 형상을 만드는 놀이. 사방 10㎝쯤 되는 나무판을 [그림 1] 처럼 직각삼각형 큰 것 2개, 중간 것 1개, 작은 것 2개, 그리고 정사각형과 평행사변형이 각 1개가 되도록 잘라낸 조각으로 여러가지

  • 칠석요 / 七夕謠 [문학/구비문학]

    칠석날에 부르는 민요. 세시민요의 하나로 그 종류도 다양하다. 대표적인 노래는 다음과 같다. “칠월칠석 오늘밤은 은하수 오작교에/견우직녀 일년만에 서로반겨 만날세라/애야애야 애야좋네 칠석놀이 좀더좋네/(후렴)/……/까치까치 까막까치 어서빨리 날라와서/은하수에 다리놓아

  • 칠성본풀이 / 七星本─ [문학/구비문학]

    제주도의 무당굿에서 구연되는 부신(富神)의 신화인 동시에 그 신화를 노래하고 기원하는 제차(祭次). 제주도의 경우, 칠성을 한집안의 수호신인 조상신으로 모시는 집안도 있고, 표선면 성읍리의 경우와 같이 마을의 수호신인 당신(堂神)으로 모시는 곳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페이지 / 47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