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옥중제성 / 獄中提醒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이문우(李文祐)가 지은 천주가사. 『옥중제성』의 형식은 4·4조, 총 130구로 되어 있다. 내용은 그 첫머리에서 “우ᄆᆡᄒᆞ다 군난이여 텬샹과(天上科)를 뵈심이라/인인선악(人人善惡) 포폄(褒貶)ᄒᆞ네 실허진가(實虛眞假) 분명하다/세옥지고(世獄之苦) 엇더하
옥지기 / 玉支璣 [문학/고전산문]
청나라의 재자가인소설 『옥지기(玉支璣)』의 번역본. 한글필사본. 중국 청대(淸代) 천화장주인(天花藏主人)이 지은 재자가인소설(才子佳人小說) 『옥지기』(20회)를 번역한 책이다. 『옥지기』는 남녀 주인공이 봉건제도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의지와 선택으로 혼인문제를 결정
옥진재시초 / 玉振齋詩抄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의원 주명신의 시「남정편」·「전가행차운」·「영학」등을 수록하여 1791년에 간행한 시집. 3책. 필사본. 1791년(정조 15)에 간행되었다. 『옥진재시초』 천책(天冊)은 「서산행 西山行」·「남정편 南征篇」 등 장편의 오언고시 6수, 「기성작 箕城作」·「열하행
옥천유고 / 沃川遺稿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인 박성한의 시·제문·서(書)·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2책. 필사본. 이 책은 후손이 필사하여 보관해온 것으로 보인다. 서문과 발문이 없어 자세한 경위는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도서에 있다. 권1은 시 175수, 권2는 제문 9편, 서(書) 4
옥포만 / 玉浦灣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거제시 옥포동ㆍ아주동ㆍ능포동 등에 걸쳐 있으며 북동쪽으로 열려 있는 만. 만의 배후에는 국사봉과 옥녀봉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입지 조건을 활용하여 이곳에 1973년 기공하여 1981년 옥포조선소가 종합 준공되었다. 현재는 이 조선소는 대우조선해양옥포조선소이
옥호빙심 / 玉壺冰心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4권 4책. 한글필사본. 이 소설은 명나라 태조 말에서 성종 즉위 초까지를 배경으로 하여 재자(才子)인 사강백이 기옥호·해빙심 두 가인(佳人)과 결연하게 되는 과정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소설에서 사강백과 해빙심이 결연
옥화서원 / 玉華書院 [교육/교육]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옥화리에 있는 서원. 1717년(숙종 42)에 서계(西溪) 이득윤(李得胤, 1553∼1630)을 주향으로 후에 주일재(主一齋) 윤승임(尹昇任, 1583∼1688), 옥계(玉溪) 박곤원(朴坤元, 1477∼1607), 돈암(遯菴) 윤사석(尹師
옥환기봉 / 玉環奇逢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규장각본은 15책으로 되어 있고,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조동일(趙東一)이 소장하고 있는 것은 2책으로 되어 있다. 천정연분(天定緣分)인 남녀주인공이 결연을 성취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이 소설은 고전소설에서는 드물게 왕실
옥황기 / 玉皇記 [문학/고전산문]
황중윤(黃中允, 1577∼1648)이 지은 연대 미상의 한문소설. 작품 말미에 “근래에 성이 아무개인 동명(東溟)이라는 사람이 진군(眞君)에게 전(箋)을 올렸다.”라는 기록이 있다. 진군은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물이다. 작품 속 인물과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자신
옥휘운고 / 玉彙韻考 [언어/언어/문자]
1811년(순조 11) 이경우(李景羽)가 편찬한 운(韻) 중심의 한자어(漢字語) 해설서. 목판본. 1812년 심정조(沈鼎祖)가 간행하였으며 순전히 한자로만 기록되어 있다. 원나라 음시부(陰時夫)가 지은 『운부군옥(韻府群玉)』은 20편이나 되어 너무 분량이 많아서 읽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