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총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하정초고 / 荷汀草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임교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3년에 편집한 시문집. 불분권 5책. 필사본. 이 책은 저자가 죽기 1년 전인 1863년 스스로 편집한 듯하다. 서와 발은 없다.『하정초고』 1책은 부(賦) 2편, 시 147수, 2책은 시 137수, 서(序) 2편, 기(
하풍죽로당집 / 下風竹露堂集 [언론·출판]
저자 박지원(1737-1805), 필사본. 책의 구성은 1책 111장이다. 표제는 '하풍죽로당집'으로 되어 있다. <연상각집> 계열본으로, <운산만첩당집>, <백척오동각집> 등이 이 책과 유사한 성격의 책들이다. 기(記) 16편, 서(書) 9편, 서(序) 6편, 인
학강만필 / 鶴岡散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신 홍석주가 견문한 명인들의 시문·언행들을 중심으로 서술한 만록집. 6권 5책. 필사본. 저자가 만년에 정계에서 은퇴한 뒤에 노년을 보내면서 지난 날의 견문(見聞)이나 독서에서 얻은 견해들을 잡록형식으로 적은 글이다.『학강산필』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학강산필 / 鶴岡散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신 홍석주가 견문한 명인들의 시문·언행들을 중심으로 서술한 만록집. 6권 5책. 필사본. 저자가 만년에 정계에서 은퇴한 뒤에 노년을 보내면서 지난 날의 견문(見聞)이나 독서에서 얻은 견해들을 잡록형식으로 적은 글이다.『학강산필』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학고문집 / 鶴皐文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이규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8년에 간행한 시문집. 1978년 이규헌의 후손 이종담(李鍾淡) 등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종은(李鍾殷)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아들 이종수(李鍾秀)의 발문이 있다. 제1편에 시율(詩律) 785수, 제2편에 기(
학고시집 / 鶴皐詩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이주섭의 시 「방삼오칠」·「개성회고」·「선죽교」등을 수록하여 1941년에 간행한 시집. 2권 1책. 석인본. 이 책은 1941년 아들 승식(承植)과 손자 규상(珪相)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윤응선(尹膺善)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규상의 후지(後識
학고집 / 鶴皐集 [종교·철학/유학]
김리만의 문집. 11권 6책. 권일의 첫머리에는 총목차, 권육까지는 한시가 수록되었다. 권칠부터 권십일까지는 산문이 실려 있다. 서두의 총목차에는 각권의 시제목만 나열되어 있으나, 실제 본문을 보면 먼저 시의 체제를 분류한 다음 한시를 실어놓았는데 순서는 총목차와 같
학교체조교수서 / 學校體操敎授書 [예술·체육/체육]
1910년 6월 학부에서 보통학교 및 고등 정도의 제학교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편찬한 체조 교재.체조지도서. 머리말에서 종래의 모든 학교에서 체조를 실시하였으나 병식체조(兵式體操)의 일부를 가르치는 데 그치며, 경성내 관립보통학교 교원의 체조강습회를 실시하였지만
학림속집 / 鶴林續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권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1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활자본. 이 책은 권재중(權在中)이 편집하고 권태동(權泰東)이 주관하여 1931년 예천(醴泉)에서 간행하였다. 원래 1844년(헌종 10) 문집 12권이 간행되었으나 시속에 저촉되는 바가
학부직원록 / 學部職員錄 [정치·법제]
대한제국 때 학부 소속 직원 명단. 판상구에 '학부'라고 인쇄되었고, 주색 목판인찰공책지를 사용하여 필사하였다. 제1면 좌측 상단에 '장서각인'이 날인되어 있다. 주로 일본인으로 학부에 근무하거나 관립사범학교, 고등학교, 일어학교, 보통학교 교사 명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