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배자 / 背子 [생활/의생활]
저고리 위에 덧입는 덧옷. 소매가 없고, 양옆의 귀가 겨드랑이까지 틔었으며 길이가 짧다. 흔히 비단 등의 겉감에 토끼·너구리·양의 털이나 융으로 안을 대고 선(縇)을 두른다. 개화기 이후의 습속으로는 여자만이 착용하였으나, 예전에는 남녀가 모두 입었다. 지금 남아 있는
배자예부운략 / 排字禮部韻略 [언어/언어/문자]
송(宋) 나라 정도가 지은 운서(韻書). 『배자예부운략(排字禮部韻略)』은 1037년(고려, 단종 3) 정도(丁度, 990∼1053)가 왕명을 받들어 『집운(集韻)』을 편수함과 동시에 『집운』의 「간정착운십삼처(刊定窄韻十三處)」에 의거하여 『경덕운략(景德韻略)』을 『예부
배천향교 / 白川鄕校 [교육/교육]
황해도 연백군(현재의 황해남도 배천군) 은천면 연동리에 있는 향교. 조선 초기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1603년(선조 36)에 중수하였으며,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
백강집 / 白江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이경여의 시문집. 16권 8책. 목판본. 1684년 아들 민서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송시열의 서문이 있다. 권1∼5에 시 764수, 권6∼11에 소차 90편, 상세자서 6편, 권12·13에 계사 34편, 수의 17편, 권14에 제문
백곡서원 / 栢谷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동에 있었던 서원. 1800년(정조 24)에 백곡사(栢谷祠)로 창건되었다. 고려 말 도덕 문장으로 이름이 높은 문절공(文節公) 이행(李行, 1352∼1432), 조선 중종 때의 월연(月淵) 이태(李迨, 1483∼1536), 금시당(今是堂) 이광진(李
백곡집 / 柏谷集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시인 김득신(金得臣)의 시문집. 7책. 필사본. 『백곡집』 제 1책 권두에는 이서우(李瑞雨)·박세당(朴世堂)이 1686년과 1687년에 각각 쓴 서문에 이어서 오언절구 253수와 육언시 7수가 있다. 제 2책은 칠언절구 469수, 제 3책은 오언율시 462
백골징포 / 白骨徵布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삼정문란의 한 사례인 군정의 폐해. 죽은 사람을 군적(軍籍)에 올려 놓고 강제로 세금을 거둬들인 폐해이다. 군정이란 군사 전반에 걸친 광의적인 면보다 군역(軍役), 즉 병역을 주로 한 군적과 군포(軍布)에 관한 행정을 말한다.
백관복 / 百官服 [생활/의생활]
관원의 정복. 관복은 의례의 성격에 따라 나라의 대사·경축일·원단·동지·조칙을 반포할 때나 진표할 때에 착용하는 조복, 왕이 종묘·사직에 제사할 때 착용하는 제복, 공사와 사은의 관계로 왕을 배알할 때 착용하는 공복, 평상 집무시에 착용하는 상복으로 구분된다. 이 밖
백광홍 / 白光弘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의 문인. 아버지는 백세인(白世仁)이며 어머니는 광산 김씨로 첨정(僉正)김광통(金廣通)의 딸이다. 아우 백광안(白光顔)과 백광훈(白光勳) 및 종제 백광성(白光城) 등 한 집안 4형제가 모두 문장으로 칭송을 받았다. 1522년(중종 17) 전라도 장흥에 있는 사
백광훈 / 白光勳 [종교·철학/유학]
1537년(중종 32)∼1582년(선조 15). 조선 중기의 시인. 아버지는 세인, 어머니는 신광통의 딸이다. 형인 광안과 광홍 및 종제 광성 등 한 집안 4형제가 모두 문장으로 칭송을 받았다. 양응정·노수신 등에게서 수학하였다. 예빈시, 소격서 참봉을 역임하였다.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