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오명준 / 吳命峻 [종교·철학/유학]

    1662(현종 3)∼1723(경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달천의 증손, 할아버지는 도융, 아버지는 수량, 어머니는 여성제의 딸이다. 우의정 명항의 형이다. 1694년 알성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정언이 되었다. 성품이 강직하여 조정에 척완의 세력이 팽배함을 탄핵하였

  • 오명항 / 吳命恒 [종교·철학/유학]

    1673(현종 14)∼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문신. 윤겸 현손, 달천 증손, 할아버지는 도융, 아버지는 수량, 어머니는 여성제의 딸이다. 1705년(숙종 31)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709년 교리를 거쳐 설서·사서 등을 역임하고, 이듬해 부수찬, 1

  • 오복연혁도 / 五服沿革圖 [언론·출판/출판]

    예류(禮類). 정구(鄭逑) 저, 목판본, 불분권 1책(22장). 한강 정구(鄭逑)가 오복(五服)에 관한 여러 가지 의식(儀式)을 도표로 만든 책이다.

  • 오산설림초고 / 五山說林草藁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신 차천로가 여러 시편의 시화, 명인의 일화 및 사적 등을 수록한 시화집.야담집. 2권 1책. 필사본. 『대동야승 大東野乘』과 『시화총림 詩話叢林』에도 수록되어 전한다. 『대동야승』에는 145편의 이야기가 실려 있고, 『시화총림』에는 시에 관련된 30편만 뽑

  • 오산집 / 梧山集 [종교·철학/유학]

    서창재의 문집. 목판본, 서:정종노, 발:서간발(1831), 6권3책. 권1은 시 55제이다. 권2는 17편의 서인데,이 중에는 별지가 10편이나 포함되어 있다. 권3 서 32편이다 권4는 잡저로 중용질의,교원통칠곡문,,유모암서, 발로 서십대조생원부군유시후,서로재시후등

  • 오상 / 吳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14-1672). 할아버지는 윤경, 아버지는 영진, 어머니는 최전용의 딸이다. 현종의 재위기에 사간원정언과 사헌부장령 등을 여러 번 역임하였다. 기수혁파를 논의하다가 대신들로부터 탄핵받기도 하였다.

  • 오선기 / 吳善基 [종교·철학/유학]

    1630년(인조 8)∼1703년(숙종 29). 조선 후기 학자. 부친은 오익전이다. 단계 장용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부모상을 당한 후에는 과거에 대한 뜻을 접고 조용히 자신의 분수를 지키며 살았다. 마음을 수양하는 위기지학과 성리학에 전념하였다. 말년에는 후학 양

  • 오수채 / 吳遂采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2∼1759). 1735년(영조 11)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부수찬·이조정랑·대사헌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1757년《송도지》속지 1권을 증보하였다.

  • 오시복 / 吳始復 [종교·철학/유학]

    1637(인조 15)∼1716(숙종 42). 조선 후기의 문신. 억령 증손, 할아버지는 정, 아버지는 정규, 어머니는 이여황의 딸이다. 1662년(현종 3)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강을부사, 이조참판, 한성판윤, 호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오시수 / 吳始壽 [종교·철학/유학]

    1632(인조 10)∼1680(숙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백령 증손, 할아버지는 단, 아버지는 정원, 어머니는 윤의립의 딸이다. 1656년(효종 7)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6품에 승품, 정언, 이조정랑, 전라도관찰사, 이조판서, 호조판서, 예조판서, 우의정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