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총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김경태 / 金敬泰 [역사/근대사]
1874-1921.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대한광복회에서 활동했으며 독립운동에 필요한 군자금을 모으는데 힘썼으나 일본경찰에 붙잡혀 순국하였다. 1963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김경희 / 金慶熙 [역사/근대사]
1896-1952.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김해(金海)이며, 제주도 조천읍(朝天邑) 조천리(朝天里)에서 태어났다. 1919년 김장환(金章煥)은 서울에서 만세시위운동을 하다가 쫓기어 독립선언서를 가지고 3월 16일에 제주에 도착하였다. 그는 백부 김시우(金時宇
김계 / 金繼 [종교·철학/유학]
1527년(중종 22)∼1565년(명종 20). 조선 전기의 문신. 부친은 대호군, 족제 우후 김숭의의 아들이었던 그를 데려다 후사로 삼았다. 나이가 많도록 학문을 모르다가 초당 허엽의 가르침을 받아 분발하였다. 을사사화에 징계된 여러 노선생들이 모여서 강의하고 글을
김계광 / 金啓光 [종교·철학/유학]
1621(광해군 13)∼1675(숙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극의 증손, 할아버지는 좌찬성 희맹, 아버지는 학, 어머니는 전주유씨로 우잠의 딸이다. 어려서 외할아버지로부터 배웠고, 그 뒤 김상헌·김응조에게도 수학하였다. 1660년(현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김계금 / 金係錦 [종교·철학/유학]
1405∼1493. 조선 전기의 문신. 아버지는 효분이다.1445년(세종 27)에 생원이 되고, 1454년(단종 2)에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하여 지평·의성현령을 지냈다. 저서로는『장릉사보』·『강의제현록』·『무오유현록』·『서강일고』등이 있다.
김계락 / 金啓洛 [종교·철학/유학]
1753년(영조 29)~1815년(순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병조판서 김시형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상우이고, 아버지는 이조판서 김화진이며, 어머니는 정이검의 딸이다. 1783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병조좌랑이 되고 그 뒤 중앙과 지방의 여러 관직을 지냈
김계렴 / 金啓濂 [종교·철학/유학]
1749년(영조 25)~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김시형, 조부는 김상우, 부친은 가선대부 경상도관찰사 김화진이다. 외조부는 정리검, 두 명의 부인 파평윤씨와 전주이씨를 두었으며, 동생 김계락이 있다. 1774년(영조 50) 식년시에 생원 3등 46위로 합격하였으
김계선 / 金桂善 [예술·체육/국악]
항일기의 대금 명인(1891-1943). 호는 죽농(竹濃). 젓대의 명인이었던 최학봉(崔鶴鳳)을 사사하고 이왕직(李王職) 세악내취(細樂內吹)·이왕직 아악수 등으로 활동하였다.
김계행 / 金係行 [종교·철학/유학]
1431(세종 13)∼1517(중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 김득우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김 혁, 아버지는 비안현감 김삼근, 어머니는 김전의 딸이다. 성균관에 입학하여 김종직 등과 교유하며 학문을 익혔다. 고령현감, 홍문관부수찬, 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김계환 / 金啓煥 [역사/근대사]
1909-1930. 일제 강점기 노동운동가. 다른 이름은 김계환(金桂煥)이다. 출신지는 함경남도 단천군(端川郡) 복귀면(福貴面)이다. 1930년 삼림정책의 방향 제시 및 삼림자원 약탈을 목적으로 일제에 의해 조직된 삼림조합(森林組合)에 의해 과다한 조합비가 부과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