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 전적 총 1,57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전적
광백론소 / 廣百論疏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측이 『광백론』을 풀이한 주석서.불교서. 『동역전등목록(東域傳燈目錄)』, 『삼론종장소(三論宗章疏)』 등의 기록에 따르면 원측 저술로 추정되는 10권의 책인데, 산실되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광백론지귀 / 廣百論旨歸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광백론』의 주요 내용과 주장을 정리하고 해설한 불교서.불교주석서. 『삼론종장소(三論宗章疏)』와 『동역전등목록(東域傳燈目錄)』의 기록에 따르면 원효 저술로 추정되는 1권의 책인데, 산실되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광보자경편 / 廣補自警編 [종교·철학/유학]
유학의 경전과 선현들의 글 중에서 실생활에 필요한 것들을 발췌한 수양서. 권두에 편자의 총서(總敍)와 목차 및 인용서목이 있는데, 인용한 책은 『주역』 197항목, 『서경』 170항목, 『시경』 139항목, 『주례(周禮)』 36항목, 『의례(儀禮)』 3항목, 『예기』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전적 / 光山金氏禮安派宗家典籍 [종교·철학/유학]
광산김씨 예안파 종손가에 소장된 유학서.종가유물. 보물 제1019호. 전적 10종 58책과 서첩 3책 등 총 13종 61점이 경상북도 안동의 한국국학진흥원에 소장되어 있다. 여러 종류의 전적들과 서첩들은 모두 조선 전기에 인출된 것이거나, 명현들의 필적이 담긴 것들로,
광산유고 / 匡山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백민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9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79년 그의 손자인 남근(南根)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원모(柳源模)의 서문과 권말에 손자 남근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
광서실기 / 匡西實紀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무신 박진영의 시·만·서(書)·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실기. 2권 2책. 목판본. 조선 말기에 7세손 치복(致馥)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성교(趙性敎)의 서문과 권말에 치복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첫머리에 범례가 있고, 권1에 연보
광서집 / 廣棲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유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1935년 이유성의 손자 이광흠(李光欽)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노상직(盧相稷)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영규(趙暎奎)와 종증손 이정호(李正浩)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65수, 서(書)
광석본모송 / 廣釋本母頌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태현이 인도 유식학자 호법의 『성유식론』을 해석한 불교서.불교주석서. 현재 산실되어 전하지 않지만, 전체 3권으로 구성된 책이다. 현존하는 태현의 유일한 저작인 『성유식론학기(成唯識論學記)』에 일부 내용이 인용되어 있다.『광석본모송(廣釋本母頌)
광석유고 / 廣石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태현의 시· 서(書)·소·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3권 1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141수, 권2에 서(書) 4편, 소 6편, 서(序) 1편, 묘갈명 1편, 권3에 행록 2편, 행장 1편, 제문 7편 등으로 구성되어
광암유집 / 廣巖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여석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38년 그의 손자인 영달(永達)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연구(柳淵龜)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탁영(李鐸英)과 손자인 영달·영범(永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