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금강산가 / 金剛山歌 [문학/고전시가]

    1816년(순조 16)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기행가사. 서울대학교 가람문고의 『장편가집(長篇歌集)』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50세 되던 1816년 3월 7일 서울을 떠나 금강산과 관동팔경을 두루 구경하고 돌아와 지었다.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705구이며, 자수

  • 금강산금강초롱 / 金剛山金剛─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강원도 금강군 내금강리에서 자라는 금강초롱. 북한 천연기념물 제233호. 내금강의 내폭동 골안, 묘길상 부근과 비로봉으로 가는 골짜기와 외금강 만물상 구역을 비롯하여 해발 600m 이상에 퍼져 있다. 1909년 금강산에서 발견되어 알려진 우리 나라 특

  • 금강산기 / 金剛山記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의 문신 조성하(趙成夏)의 기행록. 1865년(고종 2) 조성하의 나이 21세 때 간행된 책으로 권두에 조두순(趙斗淳)의 서문, 권말에 정원용(鄭元容)·윤정현(尹定鉉)·박도빈(朴道彬)·민규호(閔奎鎬)의 발문과 후(後)가 있다. 첫 부분에 「금강산기」 25장과

  • 금강산닭알바위 / 金剛山鷄卵巖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고성군 외금강면 창대리(지금의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에 있는 바위. 닭알 바위[鷄卵岩]는 모양이 달걀처럼 생겼다고 하여 일명 ‘달걀 바위’라고 부르는데, 화강암이 오랜 세월 동안 비바람에 깎이고 씻기워서 타원형의 닭알 모양을 이루게 된 것이다. 타원형의 집채만

  • 금강산삼선암 / 金剛山三仙巖 [예술·체육/공예]

    입사장 이학응(李鶴應)이 금입사로 금강산 삼선암을 표현한 작품. 중요무형문화재 제78호 입사장 이학응(李鶴應)이 금입사(金入絲)로 금강산 삼선암을 표현한 작품이다. 1900년 충청남도 직산에서 출생한 이학응(李鶴應)은 1916년에 상경하여 서울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

  • 금강산완경록 / 金剛山玩景錄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기행가사. 단본(單本). 국문필사본.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774구이다. 음수율에서는 4·4조가 주조를 이루고, 3·4조가 부주조를 이루며, 2·2조, 3·3조, 7·4조 등도 드물게 나타난다. 금강산 그 자체가 곧 불국토(佛國

  • 금강산유기 / 金剛山遊記 [문학/현대문학]

    이광수(李光洙)가 지은 기행수필. 1922년 3월∼8월까지 『신생활(新生活)』에 발표되었다. 1923년시문사(時文社)에서 단행본으로 간행하였고, 1979년『이광수문학전집(李光洙文學全集)』9(又新社)에 수록되었다. 「금강산유기」는 그 여정에 따라 ‘남대문에서 고산(高山)

  • 금강산유산록 / 金剛山遊山錄 [문학/고전시가]

    조선 말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기행가사. 단본(單本). 국문필사본. 작품내용에서 지리산과 묘향산을 거쳐 금강산에 이른 사실과 “일의일발(一衣一鉢) 담아지고, 육환장(六環杖)을 둘러집고” 등으로 미루어보아 작자가 불승(佛僧)임을 알 수 있다.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 금강산유상록 / 金剛山遊上錄 [문학/고전산문]

    한글로 씌여진 작자 미상의 금강산 기행기록. 금강산 유람기(遊覽記)는 수없이 많으나 한글로 표현한 것은 그다지 많지 않다. 그 가운데에도 이 작품과 같이 흥미 본위로 기록하여 책으로 만든 것도 드물다. 무리 거짓을 잘 하는 자라도 많고 많은 경치를 모두 말하기 어려우니

  • 금강산유점사사적기 / 金剛山楡岾寺事蹟記 [종교·철학/불교]

    고려후기 승려 민지가 금강산 유점사의 택지 유래·불종 주조의 내력 등을 기록한 사적기. 『금강산유점사사적기(金剛山楡岾寺事蹟記)』는 고려 후기인 1297년(충렬왕 23) 당시의 대표적 문인이었던 민지가 금강산 유점사의 관련 사적을 모아 찬술한 사적기로 이후 조선 말기인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