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총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파수 / 破睡 [언론·출판]
저자 미상. 필사본. 1책. 책의 구성은 1책 16장이다. <파수>는 원래 고 이가원 교수의 소장본으로 단권 단책의 한문 필사본이다. 외견상 <파수록> 또는 <파수편>과 같은 야담집들과 같은 계열에 속하는 자료인 것으로 흔히 생각하기 쉽지만, 해당 문면을 구체적으로 검
파수록 / 破睡錄 [언론·출판]
저자 미상. 필사본. 1책 책의 구성은 1책 27장이다. 단국대본 <파수록>은 다른 대부분의 <파수록> 이본들과 마찬가지로 책의 앞 부분에 서문이 실려 있다. 한편 단국대본 <파수록>은 다른 대부분의 야담집들과 마찬가지로 목차를 갖고 있지 않다. 총 56화만이 수록되어
파한집 / 破閑集 [종교·철학/유학]
고려 중기의 문신 이인로의 시화·잡록집. 3권 1책. 목판본. 권상은 시평 12조, 서필담 1조, 수필 7조, 시화 1조, 문담 2조, 기행문 1조, 권 중은 시평 13조, 수필 13조, 권하는 시평 15조, 수필 18조 등의 도합 83조가 수록되어 있다. ≪파한집≫
팔도재담집 / 八道才談集 [문학/구비문학]
1926년 강의영이 지략담과 치우담을 중심으로 수록하여 간행한 설화집. 1926년 경성서적업조합에서 딱지본으로 발행하였다. 판권란에는 저작 겸 발행자가 홍순필(洪淳泌)로 되어 있으나, 이는 발행자가 저작권을 갖던 당시의 관행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총 82면이며, 14
팔도지도 / 八道地圖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지리류(地理類) 작자미상, 목판본, 불분권 1책(8장). 지도 순서는 경기,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이다. 전국 8도의 지도를 목판으로 제작한 지도첩이다. 산청이 산음(山陰)으로 표시된 것으로 보아 1767년(영조 4
팔묘급십칠묘고유제진설도 / 八墓及十七墓告由祭陳設圖 [정치·법제]
연산군, 광해군, 화빈, 의빈, 경빈과 세 명의 귀인 등 총 8명의 묘와 연산군의 생모 폐비 윤씨의 회묘, 안빈, 명빈, 기경빈, 엄숙의, 숙원, 영빈, 소의, 김귀인, 원빈, 박숙의, 김숙의, 범숙의, 방의빈, 김숙의, 조귀인, 박귀인 등 17명의 왕실 여성의 묘에
팔상명행록 / 八相明行錄 [문학/고전산문]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다룬 불교서.전기. 3책·7책. 국문 필사본. 내용은 도솔내의상(兜率來儀相)·비람강생상(毘藍降生相)·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유성출가상(逾城出家相)·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녹원전법상(鹿苑轉法相)·쌍림열반상(雙林涅槃相) 등 8개
팔세아 / 八歲兒 [언어/언어/문자]
조선시대에 청학역관(淸學譯官)을 양성하기 위하여 편찬한 만주어 교재. 1책. 목판본. 초간본은 ≪삼역총해 三譯總解≫·≪청어노걸대 淸語老乞大≫·≪소아론 小兒論≫과 함께 같은 때에 만들어졌다. ≪팔세아≫는 ≪소아론≫과 함께 1777년(정조 1)에 검찰관 김진하(金振夏)와
팔오헌집 / 八吾軒集 [종교·철학/유학]
김성구의 문집. 7권 4책. <규 15537> 1873년(고종 10)에 4책 8권으로 간행되었다. 문집 말미의 발문과 지에 의하면 6대손 우수와 외예 권연하 등이 집안에 보관된 유고와 사우들이 가지고 있는 글 등을 모아 엮어 간행하였다고 전한다. 그러나 규장각 소장본은
패관잡기 / 稗官雜記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에 어숙권이 지은 수필집. 6권. 권두에 주원장의 홍무 원년으로부터 시작하여 조선왕조의 건국과 함께 명나라에 내왕한 사절들과 요동·일본·대마도·유구 등지에 관련된 유사·풍속 등을 자세하게 기록하였고, 당시의 사환·일사·시인·묵객들의 언행과 재인·기예·축첩·동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