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총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취은일고 / 醉隱逸稿 [종교·철학/유학]
송덕부의 문집. 목판본, 2권 1책. 권상에는 60여 수의 시를 비롯하여 2편의 제문을 비롯하여 모두 7편의 제문이 수록되어 있다. 권하는 부록으로 이재관이 지은 저자의 행장을 비롯하여 정종로가 지은 저자의 묘지명이 수록, 강용량 등 40여 명이 지은 만사와 강용량 등
취지재집 / 吹篪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위경의 문집. 석판본, 서: 이만좌(1972). 김황(1973), 발:조성학(1973), 4권 2책. 조성학은 이만좌와 김황에게 부탁하여 서문을 짓고, 자신이 발문을 지었다. 권1은 시 82제 141수가 있고, 권2는 만사 18제 21수, 서 12편이 있다. 권3에는
치생요람 / 治生要覽 [경제·산업/산업]
조선 중기 강와(强窩)가 지은 식품과 농사에 관한 책. 필사본. 상하 2권 1책. 상권에는 각종 음식을 비롯하여 소곡주(小麯酒) 등 15종의 술과 솔잎·느릅나무 껍질 등 18종의 구황식품(救荒食品), 식초, 각종 장(醬) 종류 등의 가공 및 이용법을 풀이하고 있다. 또
치암집 / 恥庵集 [종교·철학/유학]
김석규의 문집. 목판본. 후지: 류필영(1908), 8권 4책. 권1에는 목록과 시 124제 219수를 실었고, 권2에는 시 118제 161수를 실었다. 권3의 「상척사소」가, 권4에는 46편의 서가 실려 있다. 권5 잡저, 권6에는 잡저‧서7편‧기2편‧ 설 2편, 권
치암집 / 稚巖集 [종교·철학/유학]
정유지의 문집. 석판본. 발 : 정이관‧정승모, 3권 1책. 간행년도 미상. 권1에서는 15수의 시와 83수의 만사, 그리고 도연명을 기린 의고체의 시간 한 수 있다. 권2에는 「여병산회중」 등 세 건의 서가 있다. 권3은 부록으로 만사가 실려 있고, 김도 등 3인의
치와집 / 癡窩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시인 하응명의 시·서(書)·제문·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치와집』 권두에 박내오·조현규(趙顯珪)의 서문이 있다 권말에 이현욱(李鉉郁)·기원·개원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292수, 권2에 서(書) 1편, 제문 2편, 기(記) 1편, 서(序) 1편, 부록으로
치재유고 / 恥齋遺稿 [생활]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신연활자본(新沿活字本)이다. 규격은 27.5×19.2cm이고, 반곽은 21.6×15.1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치재유고(恥齋遺稿)이다. 서문(序文)은 甲寅(1974)에 권용현(權龍鉉)이 지었고,
치치재집 / 耻耻齋集 [종교·철학/유학]
김수삼의 문집. 활자판본, 서: 김도화(1906), 후지: 김동헌, 3권 1책. 권1에는 목록과 시 146제 221수를 실었고, 권2는 서.서.기.발.잡저.설.잠.제문.애사.유사, 권3 부록으로 저자에 대한 후손 및 후진들의 글을 모아 엮었다. 편지 세 편은 개인적으로
칙주판임관승급급승등령 / 勅奏判任官陞級及陞等令 [정치·법제]
1898년(광무 2) 이후 궁내부에서 칙임관, 주임관, 판임관 등의 관원에게 승급, 승등에 관해 내린 칙령. 칙임관, 주임관, 판임관은 1895년 갑오개혁을 계기로 일본의 관제를 모방하여 개편된 관료제도로, 칙임관은 2품 이상의 고위 관직이고, 주임관은 3품이하 6품까
친경의궤 / 親耕儀軌 [경제·산업/산업]
1767년(영조 43) 2월 친경과 더불어 장종(藏種:누에를 갈무리 하는 것)·수견(受繭:고치따기)을 행한 기록을 예조에서 엮은 책. 70장 1책. 필사본. 친경이란 왕이 농업장려에 솔선하는 뜻으로 적전(籍田)에 나가 몸소 갈고 씨뿌리는 의례를 말하며, 의궤란 뒷날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