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연백당초집 / 硏白堂初集 [언론·출판]
저자 김석준(1831-1915). 필사본. 7권 1책. 이 책은 총 7책으로 오직 시로만 구성되어 있다. 서문에 그는 17세인 1847년부터 시를 짓기 시작했으나 모친상과 연행 등의 일로 인해 거의 짓지 못하다가 1863년 부친이 근무하는 동래에 가서 <화국죽지사>를
연백복지무 / 演百福之舞 [예술·체육/무용]
조선시대 순조 때 창작된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 당악정재의 한 형식인 죽간자(竹竿子) 구호(口號)와 치어(致語)를 가진다. 창사(唱詞)는 순조 기축년(1829) 예제(睿製)와 고종 정해년(1887)에 개제(改製)한 것으로 되어 있다. 춤은 선모(仙母) 1인, 협무
연병지남 / 練兵指南 [언론·출판/출판]
1612년(광해군 4)에 한교가 지은 군사학 교범. 1책 36장. 목판본. 함산의 풍패관(豊沛館)에서 간행되었다. 본문은 한문으로 짓고 단락을 떼어가며 부분적으로 한글 번역문을 달았다. ① 거·기·보 병과가 연합해서 벌이는 전투기본대형, ② 소규모의 전투 훈련방법,
연악서원 / 淵岳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서원. 1702년(숙종 2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언성(朴彦誠)·김언건(金彦健)·강응철(康應哲)·조광벽(趙光璧)·강용량(康用良)의 덕행과 업적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
연암서원 / 燕巖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 후천리에 있었던 서원. 1695년(숙종 2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승언(李承彦)·이장곤(李長坤)·성안의(成安義)의 덕행과 학문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
연암시집 / 煙巖詩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시인 이좌훈(李佐薰)의 시집. 1권 1책. 목판본. 『연암시집』은 1773년(영조 49) 아버지 이동현이 그의 죽음을 애통하게 여겨 유시(遺詩)를 모아 간행한 것이다. 권두에 채제공과 홍군평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목만중의 발문이 있다. 모두 시로서 237
연암집 / 燕巖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박지원(朴趾源)의 시문집. 17권 6책. 신활자본. 책머리에 총목록이 있고, 권1·2는 연상각선본(烟湘閣選本)이라 하여 서(序)·기·인(引)·논·장(狀)·전(傳)·서(書)·묘지명·묘갈명·신도비명·탑명(塔銘), 권3은 공작관문고(孔雀館文稿)로 서·
연암집 부록 / 燕巖集 附錄 [언론·출판]
저자 박지원(1737-1805), 필사본. 책의 구성은 1책 28장이다. 내용은 제문과 만장으로 양분된다. 제문은 4편으로 부제 이재성, 외생 이종목, 문인 이현겸, 진사 최진관, 유학 최진함, 진사 한석호, 양현교, 양학조의 합작이 1편이다. 만장은 총34제 131
연잉군(영조)봉군망단 / 延礽君(英祖)封君望單 [정치·법제]
숙종의 서장자 금(昑)을 1699년(숙종 25) 12월에 연잉군으로 봉군하는 망단. 숙종과 숙빈최씨 사이에 태어난 숙종의 서장자 금(昑)을 연잉군으로 봉군하는 망단이다. 기두의 '이조연잉군망(吏曹延礽君望)'은 문서 제목에 해당하며, '금을 봉군하는 것으로 전교하셨다'는
연잉군준호구 / 延礽君准戶口 [정치·법제]
1714년(숙종 40) 한성부에서 연잉군(延礽君)에게 1714년에 작성한 호구장적에 의거하여 발급한 준호구. 한성부인 3과와 주협무개인이 날인되어 있다. 당시 북부 의통방 연추문계 제7통 제5호에 거주하고 있던 연잉군의 사조, 처 달성군부인 서씨의 사조 그리고 솔거노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