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생활 65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생활
  • 순장바둑 / 順丈─ [생활/민속]

    1945년 광복 이전에 두었던 재래식 바둑. 순장바둑은 여기에 더하여 흑5 이하 17까지를 고정화한 다음, 백부터 자유로이 둔다.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흑5부터 백12까지는 차례대로 큰 곳을 차지한 보수적 수법이며, 흑13부터 백16까지는 적세(敵勢)를 유린하겠다는

  • 술래잡기 [생활/민속]

    여러 아이들 중에서 한 아이가 술래가 되어 숨은 아이를 찾아내는 놀이. ‘숨바꼭질’ 또는 ‘술래놀이’라고도 한다. 예전에 경비를 위해서 순찰을 돌던 이를 ‘순라(巡羅)’라고 하였는데, 술래라는 말은 이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 이도 있다.

  • 승경도놀이 / 陞卿圖─ [생활/민속]

    옛 벼슬의 이름을 종이에 도표로 만들어놓고 놀던 아이들놀이. 성현(成炫)은 ≪용재총화≫에서 이 놀이를 창안한 사람이 하륜(河崙)이라고 기록하였다. 조선시대 관리의 총 수는 중앙과 지방을 합해 모두 3,800명을 넘지 않았지만 등급이 많고 칭호와 상호관계가 매우 복잡하였

  • 승복 / 僧服 [생활/의생활]

    승려가 입는 의복.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중엽 이후부터 고려 말까지 약 1,000년 동안 중국의 흑장삼과 붉은 가사를 받아들여 전통적인 우리 옷 위에 착용하였다. ≪삼국유사≫ 원종흥법조(原宗興法條)에 보이는 피방포(被方袍)는 가사로 추측되는데, 이는 중국에서 건너온

  • 승주달집태우기 / 昇州─ [생활/민속]

    전라남도 순천시 월등면 송천리에서 전승되는 민속놀이.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24호. 달집태우기는 송천리를 비롯한 전라남도 동부산간지역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는데, 정월 보름에 기풍(祈豊)·점풍(占豊)·도액(度厄)을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놀이의 명칭은 생(生)나무로 조

  • 시루떡 / 甑餠 [생활/식생활]

    곡식을 가루로 만들어 증기에 찌는 떡. 떡은 밥과는 달리 농경·토속신앙을 배경으로 하는 각종 제사와 잔치의 음식 또는 시속음식(時俗飮食)이 되었다. 그리고 그 나름대로의 특별음식이 되어 우리 음식문화에서 고유한 전통을 가지게 되었다.『임원경제지』·『규합총서(閨閤叢書)』

  • 시복 / 時服 [생활/의생활]

    문무백관이 입시(入侍)할 때나 공무(公務)를 볼 때 입던 옷. 시복은 상복과 같이 사모에, 포는 홍포(정3품 이상)였으나 상복에만 있던 흉배(胸背)가 없는 데서 구별되었다. 흉배를 하지 않은 것은 공무집행에 있어서 번거로움을 덜기 위한 것이었다고 추측된다.

  • 시접 / 匙楪 [생활/주생활]

    제상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담아 놓는 놋그릇. 모양이 대접과 비슷하나 꼭지가 달린 뚜껑이 있다. 제수를 진설할 때 수저를 시접에 담아 신위의 앞 중앙에 진설한다. 한글의궤인 <경뎐진쟉정례의궤>에 시졉으로 기록하고 있다. 시접의 표기로 시접 외에 시첩이 있는데 의궤 자

  • 시조놀이 / 時調─ [생활/민속]

    시조를 적은 종이쪽을 가지고 하는 부녀자들의 놀이. 시조가 카드에 올려져 사용되었던 놀이로 일명 ‘가투(歌鬪)’라고도 한다. 1920년대 초부터 1940년대까지 유행하였다. 이 놀이는 윤태오(尹泰五)가 경영하던 불선사(不羨舍)에서 1922년에 ≪가투≫를 발행한 데 이어

페이지 / 66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