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구비문학 총 62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구비문학
이야기주머니 [문학/구비문학]
1939년 조동탁이 전설과 민담등을 수록하여 간행한 설화집. 1939년 일월출판사(日月出版社)에서 간행했으며, 모두 37편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전설과 민담이 주종을 이루며, 제목이 없이 기술되어 있는 점이 체제상의 특징이다. 대략 다음과 같은 화두(話頭)로 시작된
이야기주머니설화 / ─說話 [문학/구비문학]
이야기를 주머니 속에 가두어두기만 하다가 죽을 뻔한 신랑을 하인이 구하였다는 내용의 설화. 일반담(一般譚)에 속하며, 전국 여러 곳에 구전되고 있다. 본래 이야기란 남에게 들은 이야기를 또 다른 사람에게 전달함으로써 공간적으로 이동하고 시간적으로 전승되는 데에 그 본질
이언총림 / 俚諺叢林 [문학/구비문학]
소담·수수께끼·희시 등을 수록한 소담집. 총 78면(39장). 한글 필사본. 이 책의 이름은 표지에 밝혀져 있는 대로 ‘이언총림’이 옳겠으나, 때로는 내용 첫머리에 있는 『뎡일남뎐』을 서명으로 쓰는 경우도 있다. 『이언총림』은 스킬런드(Skillend, W.E.)의
이여송설화 / 李如松說話 [문학/구비문학]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 이여송에 관한 설화. 인물전설의 하나로, 『기문총화(記聞叢話)』·『난중잡록(亂中雜錄)』·『대동기문(大東奇聞)』·『동야휘집(東野彙輯)』·『임진록(壬辰錄)』·『한국구비문학대계(韓國口碑文學大系)』 등에 실려 있다. 이여송은 임진왜란의 위기에서 조선을
이율곡설화 / 李栗谷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선조 때의 명신 이이(李珥)에 관한 설화. 율곡의 탄생담, 임진왜란을 예언한 방화정이야기, 퇴계와 대좌한 이야기 등이 전한다. 퇴계와 대좌한 이야기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율곡이 퇴계와 대좌한 일이 있는데, 퇴계는 나이의 고하를 불문하고 제자들에게 절을 하도록
이태조구산지설화 / 李太祖求山地說話 [문학/구비문학]
이혜동진설화 / 二惠同塵說話 [문학/구비문학]
신라시대의 승려 혜숙(惠宿)과 혜공(惠空)에 관련된 불교설화. 『삼국유사』 권4 이혜동진조에 실려 있다. 안강현(安康縣) 혜숙사(惠宿寺)의 연기전설로, 혜숙은 살육을 싫어하여 불도를 닦아 여러 가지 이적(異蹟)을 남겼다. 혜공은 고용살이하는 노파의 아들(아명은 憂助)이
이희겸 / 李喜謙 [문학/구비문학]
조선후기 양덕현감을 역임한 문신. 그의 본관에 대해 홍직필(洪直弼)은 청양(靑陽)이라 하였으나 『국조방목』에는 함평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아마도 후자가 맞을 듯하다. 일생에 대하여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지만, 진사로서 1739년(영조 15) 알성갑과에 급제하였으며
이희준 / 李羲準 [문학/구비문학]
조선후기 형조판서, 예조판서,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문인. 형인 이희평(李羲平)의 호가 잘못 전하여진 것이라는 설도 있다. 할아버지는 군자감정 이산중(李山重), 아버지는 예조참판 이태영(李泰永)이다. 뒤에 친척 이현영(李顯永)에게 입양됐다. 1805년(순조 5) 증
이희평 / 李羲平 [문학/구비문학]
조선후기 전주판관, 황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할아버지는 군자감정 이산중(李山重)이고, 아버지는 예조참판이태영(李泰永)이며, 이도영(李道永)에게 입양됐다. 집안은 노론으로 혜경궁홍씨의 외척이다. 부인 풍산 홍씨는 효행으로 이름이 높아 정려된 바 있다. 1810년(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