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극암문집 / 克庵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유흠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석인본. 1938년 후손 도징(道徵)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동철(鄭東轍)의 서문과 권말에 재종질 도승(道昇)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극암유고 / 克菴遺稿 [종교·철학/유학]
개항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유학자 이전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4년에 간행한 시문집. 권 4책. 석인본. 1974년 아들 원영(元永)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성순영(成純永)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홍순욱(洪淳旭)의 발문과 원영의 후지(後識)가 있다.권1
극암집 / 克庵集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승려 사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불교문집. 조선 말기 승려 극암 사성(克庵師誠, 1836~1910)의 문집으로서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은 시(詩)이며, 권2·3은 문(文)이다. 승려 및 관료들과 주고
극영화 / 劇映畵 [예술·체육/영화]
극적인 요소나 줄거리가 있는 모든 형태의 장편 영화. 우리나라에서 극영화란 멜로드라마 영화·희극영화·사극영화·스릴러영화·액션영화·전쟁영화 등 영화의 모든 형태를 포용하는 포괄적인 영화의 형태를 말한다.
극원유고 / 屐園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만수의 시·기·제문·사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15권 12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권1에 부 1편, 시 250수, 권2에 서(序) 7편, 기 14편, 지(識) 6편, 발 1편, 명 2편, 상량문 6편, 서(書) 8편,
극장춤 / 劇場舞 [예술·체육/무용]
무대와 객석을 구분하는 액자 모양의 서양식 무대양식에서 추는 춤. 일반적으로 극장춤은 객석과 분리된 무대형태에서 추어지는 춤을 일컬으며, 서양식 무대양식에서 추어지는 춤 혹은 무대춤을 가리킨다. 1914년 2월 신창(信彰) 기생들이 단성사(團成社)에서, 그해 3월 신남
극재문집 / 克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황기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9년에 간행한 시문집. 1979년 황기도의 조카인 황규흠(黃圭欽)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헌수(金憲洙)의 서문과 권말에 황필락(黃必樂)·황규흠 및 손자인 황윤창(黃潤昌) 등의 발문이 있다. 6권
극재문집 / 克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신익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2년에 간행한 시문집. 13권 7책. 목판본. 1862년(철종 13) 증손 택경(宅京)과 현손 정응(楨應)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유치명(柳致明)의 서문과 권말에 정응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극재실기 / 克齋實紀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무신 진한언의 행적이 기록된 자료를 수록하여 1933년에 간행한 실기. 1933년 진한언의 후손 진군견(陳君見)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곽도(郭鋾)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긍섭(曺兢燮)의 후서(後敍), 장석영(張錫英)의 발문, 진한언의 후손 진화(陳鏵)·진달근
극재유고 / 克齋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허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0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40년 증손인 찬구(贊九)·용구(鎔九)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재규(權載奎)의 서문과 권말에 조용극(趙鏞極)·찬구의 발문이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에 있다.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