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박장윤 / 朴長潤 [종교·철학/유학]

    1679년(숙종 5)∼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박순례, 조부는 박정주이다. 부친 박만종과 모친 홍수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동생은 박형윤이다. 부인은 정성능의 딸이다. 1711년(숙종 37) 식년시에서 병과로 문과 급제하였다. 지평에 임명되었다.

  • 박재원 / 朴在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3∼1780). 할아버지는 필철, 아버지는 사복, 어머니는 이병철의 딸이다. 1774년(영조 50)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사헌부지평·사간원헌납 등을 역임하였으나 홍국영의 누이가 정조의 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반대하여 홍국영의 미움을 받아

  • 박재집 / 璞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 김뉴의 시문집. 5권 4책. 목활자본. 권두에 유심춘의 서문이 있다. 권1∼4에 시 396수, 권5에 서 3편, 제문 7편, 행장 2편, 묘지명 1편, 발문 4편, 잡저 3편이 실려 있고, 부록에 저자의 묘갈명 및 신천서원과 이양서원의 봉안문·상량문·

  • 박접무 / 撲蝶舞 [예술·체육/무용]

    조선시대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6인이 전대(前隊)·중대(中隊)·후대(後隊)로 둘씩 짝을 지어 춤을 추는데 전대는 두 사람이 앞에 나란히 서고, 중대는 전대와 후대 중간에서 좌우로 갈라 서고, 후대는 뒤에 나란히 선다. 창사(唱詞)는 순한시로서

  • 박정걸 / 朴廷杰 [종교·철학/유학]

    1683년(숙종 9)∼1746년(영조 22). 조선 후기 성리학자. 부친은 박하상이다. 갈암 이현일과 그 아들 밀암 이재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과거에 응시하지 않고, 오직 학문에만 전념하며, 성리학 연구에 매진하였다. 제산 김성탁·기암 박관선 등과 도의로써 교유하였다.

  • 박정원 / 朴鼎元 [종교·철학/유학]

    1574년(선조 7)~1626년(인조 4). 조선 중기 문신. 부친은 박문충이다. 1609년(광해군 1) 진사시에 합격, 광흥봉사에 올랐다. 이후 1616년(광해군 8) 증광시 병과에 22위로 합격, 승정원 주서를 역임하였다. 1617년(광해군 9)에는 모친을 봉양하

  • 박제가 / 朴齊家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실학자(1750∼1805). 1779년 3월 규장각에 검서관직을 설치해 서얼 출신들이 하급관리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이 열리자, 이덕무·유득공·서이수과 함께 초대 검서관으로 임명되었다. 1794년 2월 춘당대무과에 장원하여 오위장이 되었다가 영평현령으로 옮

  • 박제근 / 朴齊近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9∼1885). 한성부주부를 거쳐 형조정랑을 지냈고 호조정랑에 기용되어 영건도감의 낭청으로 일하기도 하였다. 강화부판관을 역임하던 중 강화도조약이 체결 때 조선측 접견대관 신헌을 도왔다.

  • 박종갑 / 朴宗甲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2∼1799). 1770년(영조 46)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설서에 임명된 후 세자시강원에 들어가 세자를 보좌했다. 우부승지·형조참판을 거쳐 특리 평안감사로 재직할 때 백성들의 잘 돌보았다.

  • 박종남 / 朴從男 [역사/조선시대사]

    1559년(명종 14)∼1620년(광해군 12). 조선 중기 무신‧의병. 증조는 박형손, 조부는 박민수, 부친은 박응희이다. 외조부는 신천강씨이다. 부인은 생원 박전의 딸이다. 지금『창의록』일부가 세상에 전한다고 한다. 난이 평정된 후에 서울에서 무반의 청직을 지냈으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