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언해태산집요 / 諺解胎産集要 [언론·출판/출판]
1608년(선조 41)에 허준(許浚)이 왕명을 받들어 편찬, 간행한 산부인과 계통의 의서. 1권 1책. 목판본. 원래 1434년(세종 16)에 노중례가 편찬한 ≪태산요록≫ 2권을 개편, 언해한 것으로서 주로 부인과에 속하는 잉태에서부터 출산과 유아보호에 이르기까지의
엄계흥 / 嚴啓興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국산집』을 저술한 여항시인. 아버지는 명필로 유명한 엄한붕(嚴漢朋)이다. 신분은 서리(胥吏) 출신이며 이천보(李天輔)와 사귀었는데, 천보가 스승으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한다. 신분의 제약으로 뜻을 펴지 못하였으나 권세있는 자를 두려워하지 않았다고 한다
엄씨효문청행록 / 嚴氏孝門淸行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조선 후기의 장편소설 가운데에는 형제간의 우애를 앞세우는 경우가 많은데, 이 작품도 그러한 유형에 속한다. 주인공 창과 영은 사촌간이지만, 창은 영을 더없이 사랑하고, 영 또한 어머니가 형을 없애고자 하는 것을 알고는 형을 지켜
엄정구 / 嚴鼎耉 [종교·철학/유학]
1605(선조 38)∼1670(현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 서 증손, 할아버지는 인달, 아버지는 황, 어머니는 이길의 딸이다. 1630년(인조 8)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충청도염문사, 평안도도사, 이조좌랑, 한성부좌윤 등을 역임하였다.
엄철교전집 / 嚴鐵橋全集 [언론·출판]
엄성(1732-1767), 필사본. 이 책은 전 5책의 필사본이다. 연민문고에는 제1, 2, 4책이 소장되어 있다. 제1책은 '엄철교시집선(31장)', '엄철교시집존(66장)'으로 양분된다. 제2책은 '엄철교시집(40장)'과 '엄철교문집(5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엄흥도정려치제문 / 嚴興道旌閭致祭文 [문학/고전산문]
치제문. 1788년(정조 12) 10월 9일 정조(正祖)가 엄흥도(嚴興道)의 정려문(旌閭門)에 치제하게 하였다.《해석유고(海石遺稿)》권5에 수록되어 있다.
여결 / 餘結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삼정문란의 한 사례인 전정의 폐해. 토지대장에서 빠진 것으로 은결과 여결이 있다. 그 중 여결은 양전 때 전답의 결수를 실제보다 줄여서 토지대장에 기록해놓고 그 나머지 부분에서 관리가 개별적으로 전세를 수납하였다. 예를 들면 3결의 전답을 2결로 사정하여
여광주 / 呂光周 [종교·철학/유학]
1666년(현종 7)∼1714년(숙종 40) 6월 15일.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여이징, 조부는 여성제이다. 부친은 여필승, 모친은 이민급의 딸이다. 1699년(숙종 25) 사축서별제에 임용을 시작으로 1705년(숙종 31)에 이르기까지 진안현감·전주판관 등을 역
여규형 / 呂圭亨 [문학/한문학]
개항기 외아문주사, 교리, 동부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문인. 본관은 함양(咸陽). 아버지는 여풍섭(呂豊燮)이며, 어머니는 윤씨이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에게서 글을 배웠다. 1882년(고종 19)에 문과에 급제해 외아문주사(外衙門主事)에 임명됐다가, 교리(校
여사서언해 / 女四書諺解 [언어/언어·문자]
1736년(영조 12)에 이덕수가 언해한 여자들의 수신교화서. 4권 3책. 개주갑인자활자본. ≪어제여사서언해≫의 서와 범례에 의하면 중국의 ≪여사서≫와 소혜왕후의 내훈을 각각 언해하여 널리 펴게 명한 것을 알 수 있는데, 중국의 ≪여사서≫의 순서(여계·내훈·여논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