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천의소감언해 / 闡義昭鑑諺解 [언어/언어/문자]

    1756년(영조 32) 『천의소감』을 한글로 번역하여 간행한 책. 이 책은 영조가 형인 경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게 된 경위와 그 정당함을 밝히고, 이를 회의하고 부정하는 사람들을 엄단해나간 30여년 동안의 사실들을 들어, 그 뒤의 반역을 경계하려는 목적으로 1755년

  • 천자문 / 千字文 [언어/언어/문자]

    1583년 1월에 선조(宣祖)의 명에 따라 한호(韓濩)가 써서 간행한 『천자문』 목판본. 『천자문』 앞표지에 “천자문(千字文) 내사(內賜)”라 쓰여 있는데 후대에 개장(改粧)하여 쓴 것으로 여겨진다. 안쪽은 오랜 사용으로 인해 종이가 낡아져 책장을 넘기는 귀퉁이를 종이

  • 천존각온황신주경 / 天尊却瘟㾮神呪經 [언어/언어/문자]

    전염병을 퇴치하는 내용의 불경. 발문이 박선묵(朴銑默)의 것이고 같은 해에 함께 간행된 『관세음보살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觀世音菩薩六字大明王陀羅尼神呪經)』이 박선묵의 증집(增輯)에 의한 것이므로, 이 책도 박선묵이 번역하여 간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은 한문을 먼저 싣

  • 천주실의 / 天主實義 [종교·철학/천주교]

    17세기 초에 중국에서 간행된 한역서학서. 예수회 소속의 중국 선교사인 마테오리치가 16세기 말에 저술하였다. 이 책은 대화체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화자는 중국인 학자와 사영인 학자이다. 마테오리치는 이 책에서 중국인 학자를 통해 전통적인 중국유학의 입장과 불교, 유교

  • 천지팔양신주경 / 天地八陽神呪經 [언어/언어/문자]

    당나라 삼장법사(三藏法師)의정(義淨)이 번역한 불서. 한문의 원문에 한글로 음역하여, 다른 불경과 함께 합본으로 간행되었다. 판식과 합본된 책의 차이에 따라서 이본이 많다. 현재로는 『불설광본대세경(佛說廣本大歲經)』·『불설지심다라니경(佛說地心陀羅尼經)』과 함께 1657

  • 천파집 / 天坡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오숙 시문집. 4권 4책. 목판본. 1646년(인조 24) 아우 빈이 진주목사로 있을 때 편집, 간행하였다. 시와 문이 따로 편철되었고, 저작연대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권두에 이경석·정두경의 서문이, 권말에 박미의 후서가 있다. 권1∼3에 시 4

  • 철자법실태조사 / 綴字法實態調査 [언어/언어/문자]

    국어심의회 위원이던 정경해가 개인적으로 실시한 철자법(맞춤법) 사용 실태에 대한 조사 결과 보고서. 1954년 총 1023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맞춤법 관련 설문조사 및 그 결과 보고서. 필자는 한글맞춤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는 지론을 지닌 이로, 이 설문조사는 「한글맞

  • 철종어자망단 / 哲宗御字望單 [정치·법제]

    1849년 6월 후사 없이 세상을 떠난 헌종의 뒤를 이어 철종이 왕위에 오르자 그 자를 의정하기 위해 1849년(철종 즉위년) 6월 15일 빈청에서 올린 어자 망단. 이 망단은 '화영(和英), 화협(華協), 경부(景敷)'의 세 가지를 삼망으로 올린 것이다. 이 망단

  • 철종어진이봉전호망단 / 哲宗御眞移奉殿號望單 [정치·법제]

    1865년 11월 4일 빈청에서 철종의 어진을 이봉할 전각의 명호를 정하기 위해 올린 망단. 이 망단은 '천한(天漢), 진소(眞昭), 봉녕(奉寧)'의 세 가지를 올렸는대, 고종은 첫 번째 망인 '천한'을 선택하였다. 망단에는 '공경히 따른다'는 문구를 썼다.

  • 철종어휘망단 / 哲宗御諱望單 [정치·법제]

    후사 없이 세상을 떠난 헌종의 뒤를 이어 철종이 왕위에 오르자 그 이름을 의정하기 위해 1849년(철종 즉위년) 6월 15일 빈청에서 올린 어휘 망단. 이 망단은 ' 엽(曅), 변(昪), 온(昷)'의 세 자를 써 삼망을 갖추었다. 각 글자의 아래에 독음과 뜻을 현주하였

페이지 / 46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