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박상검 / 朴尙儉 [역사/조선시대사]

    1702(숙종 28)∼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환관. 심익창에게 수학하였다. 김일경과 원휘가 차례로 영변부사로 부임해 심익창의 집에 자주 드나들자 이들과 친교를 맺게 되었다. 김일경으로부터 윤취상·원휘·심익창 등을 통해 받은 은화 수천 냥을 이용해 환관과 궁녀

  • 박상현 / 朴尙玄 [종교·철학/유학]

    1629(인조 7)∼1693(숙종 19). 조선 중기의 학자. 수림의 아들, 어머니는 이부민의 딸이다. 경전에 널리 통하였으며 특히 『대학』에 밝았다. 그 뒤『태극도설』·『통서』·『황극경세』·『역학계몽』등의 성리서를 깊이 연구하여『음양소장도』를 저술하였다. 저서로는『우

  • 박서 / 朴瑞 [종교·철학/유학]

    1707년(숙종 33)∼1765년(영조 41). 조선 중기의 학자. 1746년(영조 22) 참봉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그는 경전이나 성리서 및 예학은 물론, 선가·불가·복서·의약·천문·지리·재정·군사 등에까지도 통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주요저술로는〈대학구

  • 박선 / 朴璿 [종교·철학/유학]

    1668(현종 9)∼1707(숙종 33).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순, 아버지는 성동, 어머니는 권주의 딸이다. 1696년(숙종 2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여러 지역의 현감과 병조정랑·사헌부장령 등을 지냈다. 관직은 동몽교관을 지냈다. 저서로는『도와집』

  • 박선장 / 朴善長 [종교·철학/유학]

    1555(명종 10)∼1616(광해군 8).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전, 어머니는 웅천주씨이다. 1605년(선조 38) 51세의 늦은 나이에 증광별시에 급제하여 성균관전적이 되었고 성리학에 힘썼다. 1608년 예안현감, 1614년(광해군 6) 경상도사 등을

  • 박성석 / 朴星錫 [종교·철학/유학]

    1650(효종 1)∼1709(숙종 35).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동주이다. 송시열의 문인이다. 1676년(숙종 2)에 무과에 급제, 1680년에 비변사의 낭관에 보직되고, 1682년 창성방어사를 거쳐, 뒤에 전라좌도수군절도사가 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한

  • 박성양 / 朴性陽 [종교·철학/유학]

    1809년(순조 9)∼1890년(고종 27). 조선 말기의 문신. 제일 아들, 어머니는 이운원의 딸이다. 이지수의 문인이다. 송근수의 천거로 1880년(고종 17)에 선공감감역에 임명되고, 이어 사헌부지평·호조참의·동부승지·호조참판·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저편서로

  • 박성옥 / 朴成玉 [종교·철학/유학]

    1690(숙종 16)∼1743(영조 19).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세환, 아버지는 희민, 어머니는 권태행의 딸이다. 1719년(숙종 45) 사마시에 합격, 1725년(영조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28년 무신란 때는 향인의 의병장이 되어 정부군과

  • 박성형 / 朴成珩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71∼?). 1727년 증광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사변가주서·부사정·전적·직강·고부군수·예조정랑·창령현감 등의 관직에 올랐다. 치적을 쌓기도 했지만, 사리(私利)를 축적한 이유로 의금부의 조사를 받기도 하였다.

  • 박세당 / 朴世堂 [종교·철학/유학]

    1629-1703. 조선 숙종때의 실학자. 1703년 <사변록>을 엮었다. 그 내용이 전통적인 정주의 해석과 다르다고 간주되어 사문난적으로 몰려 유배되던 도중에 죽었다. 그는 실리주의적이고 현실주의적인 방법을 중시했다. 당시 금기시되던 <노자>와 <장자>에 대해 주석하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