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어유구 / 魚有龜 [종교·철학/유학]

    1675(숙종 1)∼1740(영조 16). 조선 후기의 문신. 한명 증손, 할아버지는 진익, 아버지는 사형, 어머니는 유거의 딸이다. 1707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수원부사, 병조참지, 어영대장, 훈련대장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긍재편록』·『농암사단칠정변』이

  • 어유봉 / 魚有鳳 [종교·철학/유학]

    1672(현종 13)∼1744(영조 20). 조선 후기의 문신. 세공의 9대손, 한명 증손, 할아버지는 진익, 아버지는 사형, 어머니는 유거 딸이다. 경종의 장인 유구 형이다. 김창협의 문인이다. 집의, 사복시정, 호조참의, 승지, 세자시강원찬선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

  • 어은서원 / 漁隱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었던 서원. 1860년(철종 11)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홍관(洪灌)·이천(李篟)·홍연(洪演)·이감(李堪)·이흘(李忔)·홍상주(洪尙疇)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8년

  • 어정규장전운 / 御定奎章全韻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정조(正祖) 명찬, 목판본, 2권 1책. 표제와 판심제는 규장전운(奎章全韻)이다. 정조가 규장각의 제신(諸臣)에게 명하여 편찬한 운서이다. 표지 우측 상단에 '내사(內賜)'가 필사되어 있다.

  • 어제갱진첩 / 御製賡進帖 [문학/한문학]

    영조가 지은 친제시에 화답한 시를 모아 편찬한 시첩. 1770년(영조 46) 2월 23일(경오일)에 영조가 왕세손(정조)과 함께 『중용(中庸)』을 강학한 후 “조손동강일당중(祖孫仝講一堂中, 조손이 한 전당에서 함께 강학을 하도다), 작세금년연강학(昨歲今年宴講學, 작년과

  • 어제경민음 / 御製警民音 [언어/언어/문자]

    1762년(영조 38)에 교서관(校書館)에서 간행한 책. 1책. 선 후기 영조가 백성들에게 내린 금주령(禁酒令)이 잘 시행되지 않는 것을 개탄하며 백성들을 경계하기 위하여 내린 조칙을 간행하였다. 10장밖에 안 되는 매우 작은 분량이며, 모두 한글로만 되어 있다. 17

  • 어제경세문답 / 御製磬世問答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후기 영조가 후세를 경계할 목적으로 지은 문답형식의 책. 1책. 활자본. 1761년(영조 37) 영조가 70세가 되어『중용』과 『대학』의 중요성을 깨닫고 『중용』과 『대학』을 비롯한 경사 가운데에서 후세를 경계할만한 내용을 적었다. 대략 50문 50답으로 되어 있

  • 어제경세문답속록언해 / 御製警世問答續錄諺解 [언어/언어/문자]

    1763년(영조 39) 『어제경세문답속록』을 언해한 책. 1책. 필사본. 어제경세문답언해』의 속록이지만 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을 내용으로 한 『어제경세문답언해』와는 그 내용이 매우 대조적이다. 어두 된소리의 표기에는 ‘의(5b), 러지고져(2a)’와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