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박민 / 朴敏 [종교·철학/유학]

    1566(명종 21)∼1630(인조 8). 조선 중기의 학자. 정구의 문인이다.『대학』과『심경』을 배울 때 정구는 그의 기국이 충후함을 인정하여 제자들에게 그를 스승으로 삼을 것을 말하고는 하였다. 그 뒤 장현광을 만나 역리를 의논할 때 장현광은 그의 높은 학문에 감탄

  • 박민웅 / 朴敏雄 [역사/조선시대사]

    1674(현종 15)∼1732(영조 8). 조선 후기의 무신. 할아버지는 부사 원진, 청주에서 살았다. 도량과 재간이 뛰어나고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하여 소년 때부터 이름이 났다. 뒤에 장신 장붕익과 이봉상이 각각 국사로서 조정에 천거하였다. 충청병마우후겸창의사, 상주영

  • 박민효 / 朴敏孝 [종교·철학/유학]

    1672년(현종 13)∼1747년(영조 23). 조선 후기 학자. 부친 박용서와 모친 홍이사 딸 남양홍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권신경 등의 동학들과 더불어 권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벼슬은 숭덕전참봉에 그쳤으나 후진교육과 학문에 힘써 이재·권상일 등 당대의 학자들과

  • 박병 / 朴炳 [종교·철학/유학]

    1587(선조 20)∼1663(현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응천, 아버지는 동민, 큰아버지인 동현에게 입양되었다. 어릴 때 김장생의 문하에서 노닐었고, 또 김현성으로부터 학업을 전수받았다. 사복시첨정, 임천군수, 청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 박봉령 / 朴鳳齡 [종교·철학/유학]

    1671(현종 12)∼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진환 증손, 할아버지는 증휘, 아버지는 성익, 어머니는 서정리의 딸이다. 현감 민종로의 딸과 혼인하였다. 1699년(숙종 25)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헌납·이조좌랑·부수찬·수찬·이조정랑·부교리·교리·

  • 박사 / 博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성균관·홍문관·승문원·교서관 등의 정7품 관직. 정원은 성균관에 3인, 홍문관에 1인, 승문원에 2인, 교서관에 2인이다. 연산군 때 성균관을 혁파하면서 박사직도 다른 관서로 나누어 보냈다가 1506년(중종 1) 중종반정으로 원상회복되었다. 1895년(고종

  • 박사수 / 朴師洙 [종교·철학/유학]

    1686(숙종 12)∼1739(영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세기 증손, 할아버지는 태정, 아버지는 필영, 어머니는 안진의 딸이다. 대사헌 필명에게 입양되었다. 1723년(경종 3) 증광문과에 장원급제하여, 1727년(영조 3) 승지가 되었으며, 그 이듬해 대사성이

  • 박사익 / 朴師益 [종교·철학/유학]

    1675(숙종 1)∼1736(영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동량 후손, 할아버지는 태두, 아버지는 참봉 필하, 어머니는 윤반의 딸이다. 1712년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형조판서, 공조판서, 예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그가 벼슬하던 시기는 격변기여서 평탄한 벼슬

  • 박사해 / 朴師海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1∼1778). 결성의 안핵어사가 되어 홍양해의 산송사건을 해결하여 이름을 떨쳤다. 대사간을 거쳐, 이조참의가 되었으나 과단성이 없고 무사안일하다 하여 파직되었다가 이듬해 복직되었다. 정치적 수단도 뛰어나서 내외의 요직을 두루 지냈고, 외교적

  • 박상 / 朴祥 [종교·철학/유학]

    1474(성종 5)∼1530(중종 25). 조선 중기의 문신. 광리의 증손, 할아버지는 소, 아버지는 지흥, 어머니는 서종하의 딸이다. 1501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 교서관정자, 승문원교검, 전라도사, 사간원헌납, 담양부사, 순천부사, 나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