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호수실기 / 湖叟實紀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 정세아의 실기와 시문집. 9권 2책. 목판본. 1781년(정조 5) 6대손 일찬이 편집간행, 1874년(고종 11) 9대손 희규가 보완을 가해 중간하였다. 권두에 정범조·채홍리·박규수의 서문, 권말에 목만중·김노진·조성교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세계도
호은집 / 壺隱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화가 홍수주의 시문집. 6권 2책. 목판본. 아들 우철이 편집, 종질 우부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1721년(경종 1)에 쓴 최석항의 서문, 권말에 1722년에 쓴 우부의 발문이 있다. 권1∼3은 시 294수, 권4는 소 8편, 불윤비답 4편, 교서
호은집 / 好隱集 [종교·철학/불교]
조선 후기의 승려 유기의 시문집. 4권 1책. 목판본. 해인사 소장본에는 1785년(정조 9)에 쓴 채백규 서문, 권말에는 김몽화의 발문이 있다. 권1에는 제김응정중거문 등 11수, 중간기신론소기·무하선사시고서·도리사석종서·반룡사법당기 등 17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2
홍경래 / 洪景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반란 수괴(1771∼1812). 경서·병서·술서와《정감록》등에 통달했으나 사마시에 실패하자, 과거제도의 부패·안동김씨의 세도정치·삼정의 문란 등의 사회 모순을 깊이 인식한 뒤, 10여년간 동지들을 모아 1811년(순조 11)에 거병하여 사회변혁을 시도했으
홍경모 / 洪敬謨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74∼1851). 홍낙원 아들이다. 정조 때 동몽교관으로 경연에서《효경》을 강론, 오언시를 지어 서책을 하사받았다. 1816년 시독관으로서 홍문관에 장서가 없음을 개탄하고 《예기》·《주역》·《퇴계집》 등을 간행할 것을 상소하였다. 헌종 때
홍경하 / 洪景夏 [종교·철학/유학]
1888년(고종 25)∼1949년. 일제강점기 유학자. 자는 경행(敬行)이고, 호는 화운(華雲)이다. 본관은 남양(南陽)이고,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이다.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 1846∼1919)과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 1846∼1916)의 문인으로, 학
홍계유 / 洪啓裕 [종교·철학/유학]
1695년(숙종 21)∼1742년(영조 18).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홍처심, 조부는 홍수항, 부친은 홍우이, 모친은 이팽령의 딸이다. 처부는 이횡이다. 1732년(영조 8) 성균관 제술시험에서 수석, 1733년(영조 9)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수찬으로
홍계적 / 洪啓迪 [종교·철학/유학]
1680(숙종 6)∼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처후 증손, 할아버지는 수환, 아버지는 우석, 어머니는 이중린의 딸이다. 1708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했고, 대사헌, 강화유수, 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수허재유고≫가 있다.
홍계희 / 洪啓禧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03∼1771). 이재 문인, 1748년 통신상사로 일본에 다녀 온 뒤, 비변사당상·충청도관찰사 등을 거쳐, 병조판서로 균역법 제정을 주관했다. 이후 이조·형조·병조·호조·예조의 판서 및 예문관대제학 등을 지냈다. 글씨에도 능하했고, 저서로는《삼
홍국영 / 洪國榮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8∼1781). 영조 말년 벽파의 횡포 속에서 세손(뒤의 정조)을 보호하여, 정조 때 도승지·대제학·이조참판·대사헌 등을 지냈다. 정조의 총애와 두터운 신임, 누이동생 원빈에 힘입어 세도정권을 누리다가, 왕비 효의왕후를 독살하려다 발각되어,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