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양주봉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 필사본·활자본. 양주봉과 장소저는 어려서 혼약한 사이이다. 간신 왕승상의 참소로 양주봉의 가족이 흩어져 위기에 빠지자, 장소저의 부모도 세상을 떠난다. 장소저는 왕승상 부자의 핍박을 피하여 남장을 하고서 방랑하다가 장군 서운경의 제자로

  • 양처제 / 梁處濟 [종교·철학/유학]

    1643년(인조 21) 5월 14일∼1716년(숙종 42) 12월 5일.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부는 양희, 조부는 양홍주, 아버지는 양원이다. 처부는 장선연이다. 박세채와 윤증을 사사하여 학문의 요지와 비결을 얻었다. 동몽교관으로 있으면서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

  • 양천서원 / 良川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 내량리에 있는 서원. 1786년(정조 10)에 홍언박(洪彦博, 1309∼1363)과 홍위(洪瑋, 1559∼1624)를 제향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1798년(정조 22)에 홍관(洪灌, ?∼1126)을 추가로 배향하였다. 1868년(고종 5)에

  • 양파담원 / 暘葩談苑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임렴(任廉)이 편찬한 시화총집(詩話叢集). 8권 8책. 필사본. 1824년(순조 24)에 편집되었다. 권두에 자서(自序)가 있다. 편자는 자서에서 자신의 고조부 방(埅)이 찬(撰)한 『수촌만록(水村漫錄)』이 너무 소략하여 제가(諸家)의 것을 보태어 만들었다

  • 양풍운전 / 楊豊雲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 목판본·필사본·활자본. 「양풍운전」은 전반부에서는 가정소설적 성격을, 후반부에서는 영웅소설적 성격을 지닌 작품으로 이해되어왔다. 그러나 이 작품은 교첩의 간교한 마음이 불러일으킬 수 있는 가정문제의 여러 변수를 제시하고 있다는

  • 양향청 / 糧餉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훈련도감 소속의 재정 관서. 1593년(선조 26) 훈련도감의 발족과 함께 설치되었다. 훈련도감에서 소용되는 의복·무기·비품 등의 물품을 조달하고, 급료 등의 재정을 관리, 운영하였다. 관제로는 도제조 1원, 제조 3인, 낭청(종사관) 1인의 관원을 두었다

  • 양현문직절기 / 楊賢門直節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24권 24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중국 현종조의 인물인 장구령·한유·이임보·안녹산·고역사·안경서·이광필·곽자의 등을 등장시켜 사건을 구성해 놓았는데, 이는 「금향정기(錦香亭記)」와 같다. 작자가 사건 전개에 역사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 양현전심록 / 兩賢傳心錄 [종교·철학/유학]

    정조의 명으로 송대의 주희와 조선 숙종 때의 송시열의 문집 속에서 심법에 관한 내용을 뽑아 엮은 책. 8권 4책. 목판본. 1774년(영조 50) 정조가 동궁이었을 때 이시원 등에게 명해 편찬하도록 하였으며, 1795년에 간행되었다. 1856년(철종 7)에는 중간본이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