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허주와유고 / 虛舟窩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 김석일의 시문집. 6권 2책. 필사본. 편집경위와 필사연대는 밝혀져 있지 않다. ≪허주와유고≫ 권1∼3은 시 621수, 권4는 제문 23편, 애사 4편, 행장 3편, 권5는 소 4편, 전 1편, 기 4편, 제후 3편, 잡저 5편, 책 1편, 권6은 부

  • 허침 / 許琛 [종교·철학/유학]

    1444(세종 26)∼1505(연산군 11).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비, 아버지는 손, 어머니는 최안선의 딸이다. 종의 동생이다. 1462년(세조 8) 진사시 합격, 1475년(성종 6) 참봉으로 친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감찰이 되었다. 1476년 채수 등과

  • 허필 / 許佖 [종교·철학/유학]

    1709년(숙종 35)∼1761년(영조 37). 조선 후기의 학자·서화가. 열 증손이다. 1735년(영조 11) 학문과 시·서·화에 전념하여 당시에 삼절로 불리었다. 모든 서체에 능통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전서와 예서에 뛰어났다고 하였다. 저서로는《선사창수록》과《연

  • 허후 / 許厚 [종교·철학/유학]

    1588(선조 21)∼1661(현종 2). 조선 중기의 문신. 자의 증손, 할아버지는 강, 아버지는 교이다. 목의 사촌형이다. 장현광의 문인이다. 공조좌랑, 은사현감, 선공감부정, 장령, 장악원정 등을 역임하였다. 원주 도천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둔계집』이 있다.

  • 허훈 / 許薰 [종교·철학/유학]

    1836년(헌종 2)∼1907년. 조선 말기의 학자. 아버지는 조이다. 29세에 허전의 집지문인이 되었는데, 허전은 이익 -안정복 -황덕길로 이어진 성호학파의 실학을 이은 인물, 허훈은 허전의 학통을 이었다. 의병 군수인 허위가 아우, 허위의 손자들은 모스크바에 진

  • 헌종 / 憲宗 [종교·철학/유학]

    조선 제24대 왕(1827∼1849). 순조의 손자. 익종의 아들이다. 8세에 즉위하자 순원왕후가 수렴청정을 했다. 친정할 때는 삼정의 문란 등 국정이 혼란했고, 수재의 발생으로 민생고가 가중됐다. 기해박해와 오가작통법으로 천주교를 탄압했다. 23세로 후사 없이 죽었

  • 현궁 / 玄宮 [종교·철학/유학]

    재궁을 안치하는 능 내부의 광중. 재궁을 안치하기 위한 구덩이이다. 현궁을 팔 때에는 바닥에 금정기를 설치하고 능상각 안쪽 정중앙에 끈을 매달고 현철을 달아서 중심을 맞추고 판다. 광의 깊이는 10척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상황에 따라 변하였다. 너비는 대관[외재궁]보다

  • 현상벽 / 玄尙璧 [종교·철학/유학]

    1673-1731. 조선 후기의 학자. 권상하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영조 때 유일로 천거되어 장릉참봉·익위사세마를 지냈다. 한덕소에게 답한 별지는 그의 대표적인 성리설의 집약으로, 《중용》의 천명지성과《맹자》의 성선설을 인용하여 태극을 통한 오성의 본원을 밝힘으로써

  • 형주 / 泂珠 [종교·철학/불교]

    1639(인조 17)∼1720(숙종 46). 조선 후기의 승려. 선사. 어려서 어버이를 여의고 여러 곳을 돌아다니다가 황해도 구월산의 현관선사를 은사로 삭발·수계하였다. 그 뒤 금봉선사에게 경전을 배우고 그의 법을 이었다. 50여 년 동안 전라남도 장성군 백암산 정토사

  • 호남절의록 / 湖南節義錄 [종교·철학/유학]

    임진왜란을 비롯하여 정유재란과 이괄의 난 및 정묘호란·병자호란, 그리고 이인좌의 난 등에서 국난을 극복하기 위하여 의거를 일으켜 절의한 호남출신의 의적을 수록한 책. 12권 5책. 목활자본. 1799년(정조 23)에 편집, 간행되었다. 홍양호·고정헌의 서가 있다. 국립

페이지 / 42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