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백운산 / 白雲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과 정선군 고한읍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426m. 동남쪽의 함백산(咸白山, 1,573m)을 비롯하여 서북쪽의 두위봉(斗圍峰, 1,466m), 북동쪽의 대덕산(大德山, 1,307m) 등과 함께 태백산맥의 고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199

  • 백운산 / 白雲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과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903m. 지리산국립공원 북쪽에 위치해 있어 동남쪽으로 창암산(窓巖山, 923m), 지리산 천왕봉(天王峰, 1,915m)과 연결되고, 남쪽으로는 경상남도와 전라북도의 경계가 되는 능선을 따라 삼정산

  • 백일도 / 白日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 백일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327명(남 150명, 여 177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54세대이다. 취락의 분포는 남쪽의 내백마을과 북쪽의 외백마을에 집중되어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35㎢, 밭 0.58㎢, 임

  • 백일도 / 白日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 당인리에 있는 섬. 약 250년 전 해남군 문내면에서 신안주씨(新安朱氏)가 들어와 살기 시작했다고 전한다.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96명(남 50명, 여 46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45세대이다. 취락은 동쪽 해안의 산록부 두 곳에

  • 변산반도 / 邊山半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서남부 황해안에 돌출한 반도. 반도의 남서부에는 월명사(月明寺)ㆍ개암사(開巖寺)와 쌍선봉(雙仙峰)ㆍ보안봉(保安峰)ㆍ갑남봉(甲南峰) 등이 있어 우리나라 팔경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반도의 동부에는 호남 지방의 곡창 지대를 이루는 넓은 평야가 있다. 반도의 대부분

  • 변산반도국립공원 / 邊山半島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부안군의 변산반도일대에 지정된 국립공원. 변산반도국립공원은 동경 126°37′40″∼126°44′20″, 북위 34°21′40″∼34°47′20″에 위치하고 있으며 공원면적은 157㎢이다. 변산구릉을 중심으로 1971년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는데 1988년 6

  • 변산팔경 / 邊山八景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부안군변산반도 주변의 여덟 군데의 경승지. 1경은 곰소앞 웅연강에서 낚시하는 낚시꾼의 풍치를 일컫는 웅연조대(熊淵釣臺), 2경은 직소폭포의 장관과 밑으로 이어지는 제2·제3폭포와 옥녀담 계곡의 아름다운 선경. 3경은 내소사(來蘇寺)의 은은한 저녁 종소리와 울창

  • 병풍도 / 屛風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병풍리에 있는 섬. 동경 126°13′, 북위 34°58′에 위치하며, 증도의 동쪽으로 마산도와의 사이에 있다. 목포에서 북서쪽으로 약 24㎞, 지도읍에서는 남쪽으로 약 10㎞ 지점에 있다. 면적은 2.50㎢이고, 해안선 길이는 11.2㎞이다.

  • 병풍산 / 屛風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영흥군 횡천면·요덕면과 평안남도 맹산군 애내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353m. 낭림산맥의 남쪽 한 지맥이 북쪽으로부터 사수산(泗水山, 1,747m)·모도봉(毛都峯, 1,833m)·병풍산으로 이어져 함경남도와 평안남도의 도계를 이룬다. 산정부는 사람이 살

  • 보길도 / 甫吉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에 속하는 섬. 완도에서 서남쪽으로 23.3㎞ 떨어져 있고, 노화도 남서쪽 1.1㎞ 지점에 있다. 동경 126°37′, 북위 34°06′에 위치한다. 면적은 32.99㎢, 해안선 길이는 41.0㎞이다. 2007년 말 현재 인구는 2,799명(남 1

페이지 / 9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