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1,31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나전칠기 / 螺鈿漆器 [예술·체육/공예]

    얇게 간 조개껍데기를 여러 형태로 오려 기물의 표면에 감입시켜 꾸미는 칠공예의 장식기법. 나전이라는 말은 한국·중국·일본에서 공통적으로 쓰이는 한자어이며, 우리 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자개’라는 고유어를 써 왔다. 따라서 그 만드는 일을 ‘자개박이’ 또는 ‘자개박는다’라

  • 나주 동점문 밖 석당간 / 羅州東漸門─石幢竿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에 있는 고려시대 화강암으로 제작된 8각원당형의 깃대.당간. 보물. 보물 제49호. 높이 11m. 돌로 만든 당간지주와 당간이 나주읍성의 동문 밖에 온전히 남아 있다. 곧 나주경찰서 동남쪽의 길가에 서 있는데, 원래의 자리에 그대로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나주 북망문 밖 삼층석탑 / 羅州北望門─三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 심향사에 있는 고려후기 에 조성된 일반형 석조 불탑. 석탑. 보물. 높이 3m. 옛 나주읍성 북문인 북망문의 밖에 있었던 석탑으로, 과원동 나주시청에 있다가 현재는 심향사에 옮겨 세웠다. 윗층 받침돌의 덮개돌 일부와 지붕돌의 일부, 그리고 상륜부(相輪部

  • 나주 불회사 원진국사부도 / 羅州佛會寺圓眞國師浮屠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불회사에 있는 고려후기 승려 원진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부도. 시도유형문화재. 고려 중기의 고승 원진국사(1171~1221)의 사리탑 1기로, 탑신 하측에 “延祐四年丁巳五月 日立(연우4년정사5월 일입)”이라 새겨져 있어 1317년(충숙왕 4)에

  • 나주 서성문 안 석등 / 羅州西城門─石燈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전기 에 건립된 석등.보물. 보물 제364호. 높이 3.27m. 원래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읍성의 서문 안에 있었는데, 1929년에 경복궁으로 옮겨졌다가, 경복궁 복원 계획에 따라 현재는 용산으로 옮긴 국립중앙박물관 뜰에 세워

  • 나주송제리오층석탑 / 羅州松堤里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 세지면에 있는 고려시대 5층 석조 불탑.석탑. 시도유형문화재. 높이 6.6m.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78호. 원래 1층탑신의 면석 1개와 5층탑신 전체가 유실되었던 것을 1978년에 복원하였다.탑의 구조를 보면, 기단부(基壇部)는 2중 기단으로 기단 하

  • 나주쌍계정 / 羅州雙溪亭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에 있는 고려후기 문신 정가신과 전주정·윤보 등이 건립한 누정. 시도유형문화재.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호.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건물. 고려 충렬왕 때 전고(典故)에 밝아 세자이사(世子貳師)와 세자사(世子師) 등을 역임하였던 정가신(

  • 나주읍성 / 羅州邑城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에 있는 고려전기 에 축조된 읍성의 성곽.읍성·성곽터. 사적. 언제 축조되었는지 분명하지 않지만, 나주가 삼국시대 말기에 이미 지방 거점으로 중시되었으므로, 이때 읍성을 쌓았을 가능성이 높다. 현재의 읍성은 고려 초기에 축조되었는데, 정도전(鄭道傳)의 기

  • 낙도가 / 樂道歌 [문학/고전시가]

    고려 후기에 나옹(懶翁)이 지은 불교가사. 4·4조와 3·4조가 주조이나 파격도 눈에 뜨이며, 4음보 1구로 하여 140여구로 비교적 단형이다. 오랜 시대를 거치는 동안 변형되어 채집된 것이 『고가요집주(古歌謠集註)』에 수록되었다. 진세속사(塵世俗事)를 떠나 심산유곡

  • 낙도교거집 / 樂道郊居集 [문학/한문학]

    고려 전기 장군 강감찬(姜邯贊, 948~1031)의 시문집(詩文集). 『낙도교거집(樂道郊居集)』에 대한 기사는 『고려사』 권94 「강감찬열전」,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등에 보인다. 강감찬이 벼슬에서 물러난 후 성남(城南)의 별장에서 살면서 『구선

페이지 / 13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