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총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전적 / 光山金氏禮安派宗家典籍 [종교·철학/유학]
광산김씨 예안파 종손가에 소장된 유학서.종가유물. 보물 제1019호. 전적 10종 58책과 서첩 3책 등 총 13종 61점이 경상북도 안동의 한국국학진흥원에 소장되어 있다. 여러 종류의 전적들과 서첩들은 모두 조선 전기에 인출된 것이거나, 명현들의 필적이 담긴 것들로,
광산유고 / 匡山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백민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9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79년 그의 손자인 남근(南根)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원모(柳源模)의 서문과 권말에 손자 남근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
광서실기 / 匡西實紀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무신 박진영의 시·만·서(書)·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실기. 2권 2책. 목판본. 조선 말기에 7세손 치복(致馥)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성교(趙性敎)의 서문과 권말에 치복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첫머리에 범례가 있고, 권1에 연보
광서집 / 廣棲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유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1935년 이유성의 손자 이광흠(李光欽)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노상직(盧相稷)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영규(趙暎奎)와 종증손 이정호(李正浩)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65수, 서(書)
광석유고 / 廣石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태현의 시· 서(書)·소·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3권 1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141수, 권2에 서(書) 4편, 소 6편, 서(序) 1편, 묘갈명 1편, 권3에 행록 2편, 행장 1편, 제문 7편 등으로 구성되어
광암유집 / 廣巖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여석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38년 그의 손자인 영달(永達)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연구(柳淵龜)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탁영(李鐸英)과 손자인 영달·영범(永範) 등
광제비급 / 廣濟秘笈 [종교·철학/유학]
1790년(정조 14)에 이경화가 간행한 의서. 4권 4책. 목판본. 정조 때 함경도관찰사인 이병모가 지방 사람들의 의료혜택을 위하여 이경화에게 이 책을 편술하게 하였다. 다른 의서와 다른 점은 주로 임상과 직결되는 구급·잡병·부인병·소아병에 역점을 두었으며, 특히 단
광천집 / 廣川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조성윤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4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2책. 목활자본. 1864년(고종 1)경 아들 태규(台奎)와 제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석영(張錫英)의 서문과 권말에 조성혁(趙性赫)·이병주(李秉株)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괘편당실기 / 掛鞭堂實紀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이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2년에 간행한 시문집.실기. 3권 1책. 목활자본. 1902년 그의 외손 곽종철(郭鍾澈)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이상두(李相斗)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에 세계(世系) 1편,
괴담유고 / 槐潭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배상열의 시·서(書)·기·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형인 상현(相賢)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으나 간행연도는 미상이다. 권두에 1799년(정조 23)에 쓴 조술도(趙述道)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한동(金翰東)이 쓴 지(誌)와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