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구비문학 62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구비문학
  • 의식요 / 儀式謠 [문학/구비문학]

    의식(儀式)의 일부로 주술적 목적이나 기타 의식 진행상의 목적실현을 위하여 불리는 민요. 의식요는 노동요나 유희요에 비하여 빈약하다. 그러나 무가(巫歌)·불가(佛歌) 등도 넓은 의미에서는 의식요라고 할 수 있다. 민요에서의 의식요는 세시의식요(歲時儀式謠)와 장례의식요(

  • 이공본풀이 [문학/구비문학]

    제주도의 무당굿에서 구연되는 주화관장신(呪花管掌神)의 신화인 동시에 그 신화를 노래하고 기원하는 제차(祭次). 큰굿 때에 초공맞이 다음의 제차에서 구연되고, 불도맞이 때에도 불린다. 제주도 무속에서는 서천 서역 땅에 인간 생명의 근원이 되는 환생꽃, 재난과 멸망의 근원

  • 이담속찬 / 耳談續纂 [문학/구비문학]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명나라의『이담』에 우리나라의 속담을 증보하여 1820년에 저술한 속담집. 1권 1책. 목판본. 목판본. 명나라의 왕동궤(王同軌)가 엮은 『이담(耳談)』에 우리 나라 고유의 속담을 증보하였다. 표지 서명은 ‘야언(埜言)’이다. 1936년신조선사(

  • 이만경본풀이 / 李萬頃─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무속의 조상본풀이의 하나.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성주이씨(星州李氏)집안에 계승되는 수호신의 내력담이다. 이 수호신은 만경령(萬頃令)벼슬을 지낸 조상이므로 이만경이라 일컫는 것이며, 벼슬을 지낸 조상의 내력담이므로 조상본풀이 중 홍부일월[紅牌日月]본풀이의 한가지가

  • 이물교구설화 / 異物交媾說話 [문학/구비문학]

    사람이 사람 아닌 동물이나 식물과 교구한다는 내용의 설화. 이 술어는 최상수(崔常壽)가 한국 전설을 분류하면서 전설분류항으로 설정한 것인데, 이물의 성격에 따라 동물교구설화와 식물교구설화로 나눌 수 있고, 이물이 남성의 구실을 하는 경우와 여성의 구실을 하는 경우로도

  • 이별가 / 離別歌 [문학/구비문학]

    남녀 사이의 이별의 애달픔을 노래한 잡가. 「춘향전」이나 「배비장타령」 등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오래전부터 민간에서 애창되어왔음을 알 수 있다. 「춘향전」에서는 이도령이 춘향과 연연히 백년가약을 맹세함에 잇따라 남원부사에서 호조판서로 승진한 아버지를 따라서 이도령이

  • 이사원네 맏딸애기 [문학/구비문학]

    부녀자들이 주로 부르는 서사민요의 하나. ‘이생원’이 ‘이사원’으로 바뀌어 노래 제목이 ‘이사원네 맏딸애기’로 되었다. 남녀 간의 사랑을 아주 밀도 짙게 다루어 상당한 장편을 이루었다. 저주의 사설을 보면 “삽작거래 들거들랑 청삽사리 물어주고”, “방 안에야 들거들랑

  • 이산해설화 / 李山海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선조 때의 명신 이산해에 관한 설화. 이산해탄생담과 동서 분당을 예언한 이야기가 있다. 이산해의 아버지 이지번(李之蕃)이 명나라에 사신이 되어 갈 때 산해관에서 유숙하면서 집에 있는 부인과 동침하는 꿈을 꾸었다. 그런데 이지번의 부인도 같은 날 남편과 동침하는 꿈

  • 이성계설화 / 李成桂說話 [문학/구비문학]

    고려의 무신이면서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에 관한 설화. 이성계설화는 조선왕조실록과 『대동야승』·『동사강목』·『연려실기술』·『성호사설』·『용비어천가』 등의 자료에 상세하게 전한다. 인물전설의 경우 대체로 언급되는 인물에 대하여 각 편마다 평판이 일치하거나 비슷한 경향

  • 이야기꾼사위설화 / ─說話 [문학/구비문학]

    이야기를 잘해서 장가를 가게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소담(笑譚) 중 지략담(智略譚)에 속한다. 이 설화는 아내를 맞이하기 위하여 시험을 치르는 이야기 가운데 하나로, 주인공은 비범한 능력을 갖추었다기보다는 상대방의 약점을 이용하는 일상적인 재치를 구현하고 있다. 그래서

페이지 / 6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