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귀부 / 龜趺 [예술·체육/건축]

    거북모양의 돌비석 받침돌(碑座石).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시대의 석비는 대체로 비좌 없이 그대로 땅에 묻어 세우거나, 혹 비좌가 있다 하더라도 자연석을 비좌로 삼았을 뿐이었다. 그러나 통일신라시대 이후 당나라 석비의 영향을 받아 귀부를 비좌로 삼게 되어 그 뒤로 이러한

  • 귀비 / 貴妃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정1품 내직. 국초에 후비(后妃)의 아래 서열로 모원(某院)·모궁부인(某宮夫人)이 있었다고 하며, 현종 때 귀비·숙비 등의 칭호가 있었다고 하여 그 명칭이 처음 보인다. 또, 문종 때에 내직관제를 정하여 숙비·덕비·현비와 더불어 모두 정1품으로 정하였다고 한

  • 귀산곡 / 歸山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침굉(枕肱, 懸辯)이 지은 불교가사. 작품은 2음보 1행으로 헤아려 88행이며, 국한문혼용체이다. 이른바 「침굉가사(枕肱歌辭)」 3편 가운데 하나이다. 작자의 문집인 『침굉집』에 실려 있다. 내용은 세간의 명성이나 영화가 모두 허사이니 승복 한 벌과 표주박

  • 귀솟음 / 귀솟음 [예술·체육/건축]

    건물 중앙에서 양쪽 끝으로 갈수록 기둥을 점차 높여주는 건축기법. 귀솟음은 건물 중앙에서 양쪽 귀로 갈수록 솟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귀솟음의 가장 큰 목적은 착시현상을 교정하기 위한 것이다. 귀솟음 없이 같은 높이로 기둥을 세우면 건물 양쪽이 어깨가 처진 것처럼

  • 귀신사부도 / 歸信寺浮屠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귀신사에 있는 고려시대 팔각원당형 석조 불탑.부도. 시도유형문화재. 높이 250㎝.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63호. 부도의 기단은 상·중·하대로 구성되었는데, 하대와 상대에는 세 겹의 연꽃무늬가 덮여 있고, 중대는 팔각형이지만 거의 원형에 가깝다.

  • 귀신사석탑 / 歸信寺石搭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귀신사에 있는 고려시대 3층 석조 불탑.시도유형문화재. 높이 5.5m.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62호. 지대석 위에 단층기단을 쌓고 그 위에 4장의 돌로 이루어진 갑석을 얹은 다음 3층의 탑신을 올렸다.탑신부는 탑신과 옥개석이 각각 몇 개의 석재로

  • 귀암집 / 歸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원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10권 5책의 목활자본과 12권 6책의 목판본 2종이 있다. 목활자본의 간년(刊年)은 미상이고, 목판본은 1937년 후손들이 목활자본에 누락된 유문(遺文)을 더 수집하여 간행하였다. 목활자본에

  • 귀얄기법 / ─技法 [예술·체육/공예]

    넓고 굵은 붓을 이용해 기면 위에 백토를 바르는 분청사기의 장식기법. 귀얄(풀비) 같은 넓고 굵은 붓으로 형체가 완성된 기면(器面) 위에 백토(白土)를 바르는 기법을 일컫는다.귀얄기법은 사용하는 붓의 특성상 기면에 털자국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이 일반적인 백

  • 귀원유집 / 歸園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황기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석판본. 1938년 손자 정현(庭顯)이 족제인 시현(時顯)·용현(龍顯) 등과 함께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증헌(宋曾憲)의 서문과 세계(世系)가 있고, 권말에 정현과 족손인 갑

  • 귀원정종 / 歸源正宗 [종교·철학/불교]

    1913년 백용성이 불교에 대한 주자학과 기독교의 비판에대하여 반론한 종교서. 근대 한국불교의 대표적 고승인 백용성(1864∼1940)이 저술한 책이다. 귀원정종(歸源正宗)이란 ‘근원에 돌아가는 바른 가르침’이란 뜻이다. 이때의 바른 가르침이란 불교를 말한다. 한문으로

페이지 / 2214 go